인삼종자의 휴비 및 발아기구의 해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종자의 후숙과정중 ABA의 함양변화를 조사하여 미숙배의 생장 및 발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1. 홍숙과에 있어서 ABA 함량은 과육이 종자나 내과피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이들 분포는 수분분포와 비슷하였다. 2. 개갑처리과정중 ABA 함량은 종자 및 내과피에서 모두 점차 감소되었는데 처리 90 일후 (개갑률 :96 %)에 종자에서는 90 pmol/gDW로 69 %가, 내과피에 서는 41 pmol/gDW로 80 %가 각각 감소되었다. 전 ABA에 대한 free 능의 비율은 종자에서는 계속 감소하였으나 내과피에서는 종자보다 높은 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ABA 함량 감소와 미숙배생장과의 상관에서는 종자에서 유의성(r=-0.9737)이 크게 나타났다. 3. 개갑후 종자의 ABA함량은 4℃ 와 15℃ 에서 모두 점차 감소되었는데 처리 90 일후에 4℃ 에서는 28 pmol/gDW로 69%가, 15℃ 에서는 46pmo1/gDW로 49%가 각각 감소되었다. 전 ABA에 대한 free 능의 비율은 4℃ 에서는 점차 증가되었으나 15℃ 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ABA 함량 감소와 발아시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ABA함량 감소와 발아시와의 상관에서는 4℃ 에서만 유의성(r=0.9852)이 있었으며 ABA 함량 감소와 1일 평균 발아율과의 상관에서는 4 ℃ 에서 부상관(r=-8548), 15℃ 에서는 정상관 (r =0.9737)이 있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개갑과정에서의 ABA의 함랸변화는 미숙배의 생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개갑후 저온처리 과정에서의 발아능력(생리적휴면타파정도)은 ABA의 함량감소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 같다.
Abscisic acid (ABA) content of the seed and endocarp during stratification were analyzed and then examined in relation to the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In mature red fruitlet, the ABA content was remarkably higher in sarcocarp than those in both seed ans endocarp. During the stratification before dehiscence, ABA content was gradually decreased in both seed and endocarp. After 90 days(dehiscent percentage; 96%) it came to 90 pmol/ g DW(69% decrease) and to 41 pmol/ g DW (80% decrease) in seed and in endocarp, respectively. The ratio of free from to total ABA content showed constant decrease in seed, but remained at higher level in endocap than in seed.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of ABA content and embryo growth showed higher significance in seed than in endocarp. During the stratification after dehiscence, ABA content in seed was gradually decreased at 4~circC and 15~circC , After 90 days it came to 28 pmol/ g DW (69% decrease) and to 46 pmol/ g DW (49% decrease) at 4~circC and at 15~circC , respectively. The ratio of free form to total ABA content was gradually increased at 4~circC , but remained almost constant at 15~circC .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of ABA content and days to first germination showed positive singificance only at 4~circC , where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and mean germination percentage per day showed negative significance at 4~circC , but positive significance at 15~circC .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e ABA of the seed end endocarp during the stratification before dehiscence seems to be concerned with the immature embryo growth, but that of the seed during the stratification after dehiscence seems to show little effect on the germination capability(degree of breaking physiological dorm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