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밀 적.만파시 종자성숙정도 및 파종량이 청예와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eed Maturity, Seed Maturity, Seeding Rate, and Plan Planting Time on the Seed and Silage Yields of Rye(Secale Cereale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호밀 적ㆍ만기 파종에서 종자성숙 및 파종량이 출아, 생육, 청예 건물수량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경북 경산군 영남대학교 농장에서 재래종(팔당호밀)을 공시하여 파종기 10월 28 일(적기) 및 11월 11일(만기)로 하고 파종기별로 출수후 45일 및 30일에 수확한 종자를 파종량을 달리하여 ( 1m2 당 300입, 450입, 600입, 750입, 900입) 시험을 실시하였다. 출아수 및 분얼수는 적기파종에서 출수후 30일과 45일 종자간에 차이가 없었고, 파종량을 증가할 때 출아수가 증가하고 분얼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만기파종에서는 출수후 45일 종자에서 30일 종자보다 출아수와 분얼수가 많았으며 파종량 증가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만파에서 출수후 30일 종자는 파종량 증가로서 적정주수 확보가 어렵다. 출수기는 적ㆍ만파에서 출수후 30일 종자가 2~3 일 늦었다. 청예수양은 만파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적ㆍ만파모두 파종량을 높일 때 청예수량도 증대되어 적기파종에서 750립 / m2 ( 15kg/ 10a)의 파종량에서 최대가 되었고, 출수후 30일 종자는 만파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수수 및 1000입중은 적기파종에서 만기파종보다, 그리고 만기파종에서는 출수후 45일 종자로서 파종량 750립/m2 ( 15kg/10a) 이상에서는 적기파종의 종실수량 수준까지 접근할 수 있었다. 출수후 30일 종자는 만기파종에서 파종량을 증가하여도 출아율이 낮고 청예 및 종실수량이 심하게 감소되어 종자로 이용하기는 불안정하다.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ed maturity and seeding rate of two planting times on the seed emergence and silage and seed yields of rye, a local variety 'Paldanghomir' harvested 30 and 45 days after heading(DAH) were planted at five seeding rates on October(optimum) and November(late) in 1985. At the optimum planting, number of seedlings per unit area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 were affected by seeding rate, but not by the seed maturities. However, at the late planting, number of seedlings per unit area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 wer higher in the seed harvested 45 DAH, and they were not correlated with seeding rate in both seeds harvested 30 and 45 DAH. Heading date was 2 or 3 days earlier in the seeds harvested 45 DAH in both planting times. Silage yield was higher at the optimum planting and increased as seeding rate increased in both planting times. Number of spike and 1000~seed weight were higher at the optimum planting than late planting and higher in the seed harvested 45 DAH than 30 DAH in late planting, but were not different among seeding rates. Seed yield at optimum plant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eed maturities and among seeding rates, and recommandable seeding rate was 600 seeds per m2 . At late planting the seed yield of the seed harvested 45 DAH in the seeding rate over 750 seeds per m2 approached to the yield of the optimum planting. The seed harvested 30 DAH was unstable because of extremely low emergence rate and yield even at the higher seeding rate in late planting. planting.

저자
  • 姜光熙(영남대학교 농과대학) | 강광희
  • 柳漢煜(영남대학교 농과대학) | 류한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