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주조의 사료적 가치 KCI 등재

Feed Value of Pearl Millet[Pennisetum americanum(L.) Leeke] Grown as a New Forage Cro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진주조가 우리나라 자연환경조건에서 재배될 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조, 기장,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985∼86년에 수원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 파종, 시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종합, 요약하여 보고한다. 1. 진주조는 26품종 평균 청취수량이 10.7∼12.8t/10a 생산되어 조, 기장,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다수확되었다. 옥수수는 조와 기장에 비하여 증수되었고 기장은 조에 비하여 청취 및 건물수량이 높았다. 2. 진주조 우량교잡종 수원 001는 3회 예취한 청예수량이 14.9t/10a로 옥수수 6.6t/ 10a,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9.5t/10a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엽면적지수도 3회 예취시 합계 32.4로 옥수수 5.8, 수수/수단그라스 20.8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조단백질함량에서도 진주조의 종실에서는 16.3%로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6∼5% 높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11.8%, 4회 예취에서 평균 16.1 %로 월등히 높았다. 조지방함량도 진주조 종실 3.8%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청예용 식물체에서는 1.3∼1.4%로 옥수수와 비슷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보다는 약간 낮았다. 종실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가 1.9%로 옥수수 2.6%, 수수/수단그라스 4.3%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 24.4∼26.8%로 옥수수보다 낮았으나 수수/수단그라스와는 비슷하였다. 조회분은 진주조 종실에 2.4%, 청예용 식물체에 10.8∼11.6% 함유되어 있었으며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와 큰 차이가 없었다. 소비율도 진주조가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3. 질소증시에 따라 진주조 자식계통 T 186의 청예수량이 증가되었다.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은 N0∼10kg/10a구에서 5.2∼5.0%, N 20∼40kg/10a구에서 8.9∼8.4%. N 60kg/10a구에서 12.4%로 증가되었으나 조지방함량은 질소증시에 따라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조섬유함량은 27.7∼30.5%로 질소증시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조회분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소화율은 N0∼10kg/10a구의 49.4∼49.7%에 비하여 N20∼30kg/10a구에서는 56.6∼60.9 %로 증가하였으며 N40∼60kg/10a구는 50.2∼55.0%로 약간 낮아졌다.

Pearl millet has been detected as a promising new forage crop of excellent quality and productivity since 1985. Its green fodder yields were 10.7 to 12.8 tons per hectare in average of 26 accessions in Suwon, 1985. The yield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Italian and pro so millets and com. Com was better than Italian and proso millets, and proso millet was better than Italian millet for a green fodder crop. Suwon 1 pearl millet hybrid was the best of the 13 hybrids examined in Suwon, 1986 being 149 tons per hectare of three times cut green fodder yields. The pearl millet hybrid was higher in green fodder yield than com and sorghum/sudan grass hybrids. Leaf area index was 32.4 for the three times cut pearl millet, while 5.8 for the one time cut corn, and 20.8 for the three times cut sorghum/sudan grass. Crude protein content was 16.3 percent for pearl millet being six to five percent higher than corn and sorghum/sudan grass, 11.8 percent for the one time cut at maturity and 16.1 percent for four times cut being higher than corn and sorghum/sudan grass. Crude fat content was 3. percent for pear 1 millet grain being some what higher than corn and sorghum/sudan grass and 1.3-1.4 percent for green fodder crop. Crude fiber content in grain was 1.9 percent for pearl millet 2.6 percent for corn, and 4.3 percent for sorghum/sudan grass. Crude fiber content in pearl millet plant was 24.4 to 26.8 percent, Crude ash content was 2.4 percent in grain and 10.8 to 11.6 percent in the plants of pearl millet hybrid. In vitro digestibility of grain was 93.7 percent for pearl millet, 95.4 percent for corn, and 55.8 percent for sorghum/sudan grass. The digestibility of whole plant was 57.6 to 63.4 percent for pearl millet, 46.3 percent for corn, and 47.3 to 57.6 percent for sorghum/sudan grass. Heavier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s increased green fodder yields, protein content and digestibility, but reduced fat and ash content of pearl millet inbred line T 186.

저자
  • 朴根龍(작물시험장) | 박근용
  • 崔炳漢(작물시험장) | 최병한
  • 姜榮吉(제주대학교 농과대학) | 강영길
  • 文賢貴(작물시험장) | 문현귀
  • 朴來敬(작물시험장) | 박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