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상요소에 따른 호프 (Humulus lupulus L.)의 수량 및 α -Acid 함량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I. 생구화 수량 예측모형 KCI 등재

Modeling for Predicting Yield and α-Acid Content in Hop (Humulus lupulus L.) from Meteorological Elements - Ⅰ. A Model for Predicting Fresh Cone Y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호프 주산지인 강원도 횡성에서 기상요소의 변화에 따른 수량 예측 모형식을 작성하고, 수량에 관여하는 주요 기상요소와 호프 생리적 작용관계를 구명하고자 1978년부터 1986년까지 9개년간의 년도별 호프 각 생육단계의 기상요소와 4년생 이상 호프의 년평균 수량을 농촌진흥청 VAX 11/785 전산기 AGRISP에 입력 분석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량 예측을 위하여 선택된 기상요소는 초기생장기(4월 21일~5월 20일)의 최저기온과 평균기온, 화아분화기(5월 21일~6월 20일)의 최고기온, 개화기(6월 11일~7월 10일)의 최고기온, 구화형성기(7월 1일~7월 31일)의 일조시수, 구솨 성숙기(7월 21일~8월 20일)의 강수량이었다. 2. 초기 생장기의 최고기온( X3 )과 개화기의 최고기온( X4 )은 수량 감소에 영향을 주었고, 초기 생장기의 평균기온( X5 )과 구화형성기의 일조시수( X6)는 수량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3. 수량예측의 중선형 회귀모형식은 Y=6042.846-17.665 X1 -0.919 X2 -96.538 X3 -138.105 X4 +86.910 X5 + X6로 MS Ep=25.258, Rp2=0.9991, Rap 2 =0.9962, Cp=7.00이었다.00이었다.

The hop yield prediction model developed based on meteorological elements in Hoeongseong was Y=6,042.846-17.665 X1 -0.919 X2 -96.538 X3 -138.105 X4 +86.910 X5 + X6 with MS Ep of 25.258, Rp 2 of 0.9991, R ap 2 of 0.9962 and Cp of 7.00. The minimum air temperature at early growing stage ( X1 ), the total precipitation at cone ripening stage ( X2 ), the maximum air temperature at flower bud differentiation stage ( X3 ) and the maximum air temperature at flowering stage ( X4 ) influenced on hop yield as decrement weather elements. The average air temperature at early growing stage ( X5 ) and the total sunshine hours at cone development stage ( X6 ) influenced on hop yield as increment weather elements.lements.

저자
  • 朴景烈(경기도 농촌진흥원) | 박경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