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aclobutrazol 처리시기가 벼의 도복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Lodging Related Traits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Time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생장억제제인 paclobutrazol의 처리시기가 출수후 수도 품종 섬진벼의 도복 관련형질의 변화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질소 수준은 12 및 18kg/10a, paclobutrazol(0.6% 입제) 처리시기는 출수전, 43, 33, 23, 13일 이었고, 도복 관련형질은 출수후 10, 20, 30, 40일에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간장은 paclobutrazol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하위절간,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상위절간이 단축되었으며, 간장은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더 단축되었다. 2. 모든 처리에서 도복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도복지수는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되었고, paclobutrazol 처리는 무처리보다 도복지수가 낮았다. 생체중은 출수후 3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좌절중은 출수후 30일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40일에는 감소하였고, paclobutrazol 처리시기간에 좌절중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도복지수에 미치는 생체중의 직접효과는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하나 좌절중과 간장의 직접효과는 시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었고, 출수후 40일에 도복지수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좌절중, 간장, 생체중의 순이었다. 4. 간기부의 전분함량은 모두 출수후 20일까지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다. 간기부의 cellulose함량은 출수후 20日까지 증가하였으나 hemicellulose, lignin 함량은 출수후 조사시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간기부의 전분함량,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음량과 좌절중과는 상관이 없었다. 5. 수량은 paclobutrazol을 출수전 13일에 처리한 것이 무처리와 비슷하였으나 그 이전의 처리에서는 수당영화수의 감소로 감수하였다., 동진벼는 다비구에서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상위엽초장이 길어졌으나 삼강벼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마. 다비, 밀식됨에 따라 두 품종의 엽신, 엽초중이 증가되었으며, 삼가여의 1, 2엽신중은 동진벼 보다 높았으나 3, 4엽신중은 낮았다. 삼강벼는 2, 1, 3, 4엽, 동진벼는 3, 2, 1, 4엽 순으로 엽신중이 높았다. 다비구에서 두 품종의 상위엽초중이, 또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서는 두 품종의 엽초중이 증가되었다. 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잔존 생엽수는 감소되었다. 삼강벼의 잔존 청엽수는 동진벼에 비하여 제 5엽은 20%, 4엽은 20% 증대되었다. 잔존 청엽수는 질소수준 보다 재식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사.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고 삼강벼는 동진벼 보다 30% 증수되었다. 단엽, 직립엽, 엽폭의 증대 그리고 잔존 생엽의 증가는 증수요인임이 확인되었아. 다비와 밀식은 미질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nces being utilized was related to the working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 experiances, the more materials were utilized. It was answered that teaching plan for health education was prepared by school-nurses themselves (95.2%), and was differentiated as three levels as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nd the fifth and sixth grades 3. The contents of th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time on the lodging related traits and yield of a rice variety. Seomjinbyeo, at two nitrogen leveles. Paclobutrazol (3kg 10a of 0.6% G) was applied 43, 33, 23, and 13 days before heading (DBH) and lodging related traits were observed 10, 20, 30, and 40 days after heading (DAH). Earlier applications of paclobutrazol reduced the length of lower internodes and later applications reduced the upper internodes. Culm length tended to decrease as time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delayed. Although lodging was not occurred in all plots. lodging index of paclobutrazol treated plots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d increased with maturity, Fresh weight of shoot increased up to 30 DAH and then decreased. Both fresh weight and breaking strength did not show consistent tendency with time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and observation. Direct effect of shoot fresh weight contributing to lodging index decreased with maturity. but that of breaking strength and culm length was similar during the ripening stages. Direct effect contributing to lodging index was greater in the order of breaking strength culm length. and fresh weight 40 DAH. Starch content of culm base decreased up to 20 DAH and then increased up to 40 DAH. Cellulose content increased up to 20 DAH, but hemicellulose and ligni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ripening stages. Starch,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of culm base did not correlated with breaking strength and time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did not show consistent results. Paclobutrazol applied 13 DBH did not reduce yield of rice. but the earlier applications reduced yield due to a reduce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저자
  • 李錫淳(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이석순
  • 金台柱(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김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