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부지방에 있어서 과맥 유용형질의 선발효과 KCI 등재

The Selection Efficiency of Some Agronomic Characters of Naked Barley in the Central Region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중부지방에 있어서 과맥의 유용형질에 대한 유전율, 유전상관, 경로계수, 선발지수 및 유전적 진보의 선발효과를 구명코자 백동외 8품종을 공시하여 단국대학교 농과대학의 전작포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맥 품종군의 유전율은 간장, m2 당 수수는 높은 유전력을 보였으며 기타 형질은 비교적 낮았고 천립중은 매우 낮았다. 2. 일반적으로 유전상관은 표현형상관보다 높았으며 수량과 타형질과의 유전상관은 총생체중, 수중, 수중대고중비는 고도의 정상관이 있었고 간장, 수장, 1수립수, 수당불임입수와는 높은 부상관을 나타냈다. 3. 수량에 관하여는 형질을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하여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총생체중, 수중대고중비 및 천립중 등이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였다. 4.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 형질의 선발지수 및 수량에 대한 유전적 진보를 계산한 결과 2~3 개 형질을 대상으로 하여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가는 것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선발효과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ritabilities, genetic correlations, path-coefficients, selection indexes and genetic advances for the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naked-barley (Hordeum vulgare L.)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Genetic advances were calculated from selection indexes for each characters. It was considered that selec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in case it was calculated from the combination of two or three characters. These characters should be very useful agronomic characters for selection because they could be measured and counted easily, and thus it is also possible to save labour and expenses.

저자
  • 金宗壽(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김종수
  • 曺章煥(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조장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