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석회물질 시용이 Burley종 연초의 수량과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Response of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to Application of Lime Mater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Burley 종 연초재배에 있어서 석회시용의 타당성을 구명하고자 Burley 21을 공시품종으로 석회무시용구, 황산칼슘(Ca : 35kg/10a), 탄산칼슘(Ca : 35kg/10a) 농용석회(pH 6.5 조정량) 시용구를 두고 수량, 엽중 무기 및 유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회무시용구에 비해 황산칼슘 시용구는 토양 및 엽중 무기성분 함량에서 대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탄산칼슘과 농용석회시용구는 Ca, mg 함량이 높아지고 Al, Mn, Fe 함량은 감소하였다. 2. 담배 수량은 석회무시용 < 황산칼슘 < 탄산칼슘, 농용석회순으로 나타났으나, kg 당 가격은 차이가 없었다. 종자 생산량은 무시용 < 농용석회 < 황산칼슘, 탄산칼슘순으로 증가하였다. 3. 무시용구에 비해 황산칼슘시용구는 건조엽의 암모니아 태질소, 비수용성알칼리 계수가 높았으며, 탄산칼슘시용구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알칼리 계수, 향기성분 함량이 높았으나, 단백태질소, 석유에텔추출물 함량은 낮았다. 농용석회시용구는 질산태질소, 수용성 및 비수용성알칼리계수, 향기성분 함량은 높았으나, 단백태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니코틴 석유에텔추출물 함량은 낮았다. 석회시용에 의한 엽중 화학성분의 변화는 장, 단점이 상쇄되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토양 pH를 미산성 (pH 6.5내외)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석회 시용이 필요할 것이다.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lime materials application on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urley 21 in 1986. Lime materials and application rate were CaSO4 : Ca 35kg/l0a. CaCO3 : Ca 35kg/l0a and Liming: pH6.5. Contents of Ca and Mg in fresh or cured leaves were increased, but AI, Fe and Mn were decreased by applying lime materials. Yield were increased by applying lime materials. Among lime materials treatment, yield of limed and CaCO3 plot were higher than that of CaSO4 plot. Value per kg of cured leaves was not affected by applying lime materials. Cured leaves of CaSO4 plot contained higher NH3 -nitrogen and alkalinity number of water insoluble ash than those of unlimed plot. Cured leaves of CaCO3 , plot contained higher alkalinity number of water soluble ash, insoluble ash and volatile neutral constituent, but lower protein-nitrogen and petroleum ether extracts than those of unlimed plot. Cured leaves of limed plot contained higher alkalinity number of water soluble and insoluble ash, NO3 -nitrogen and volatile neutral constituents, but lower protein -nitrogen, nicotine and petroleum ether extracts than those unlimed plot. Yield was increased, however leaf Quality in respect to 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were not affected considerably by applying lime materials. Therefore, it suggests that controlling the soil pH about 6.5 by liming might be necessary for tobacco cultivation.

저자
  • 李哲煥(한국인삼연초 연구소) | 이철환
  • 金容鈺(한국인삼연초 연구소) | 김용옥
  • 朴秀俊(한국인삼연초 연구소) | 박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