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강보리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oil- and Air-temperatures on Agronomic Characters of a Barley Cultivar Kangbori (Hordeum vulgare L. Emend. Lam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맥류 생육기간중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맥류 세대단축에 이용코자 온도조절이 가능한 야외생육상안에 토양온도 조절기구를 장치하여 기온 20, 25, 30℃ 에 지온 10, 15, 20, 25℃ 구를 설정하고, 공시품종은 춘파성 정도가 I인 강보리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기온이 동일할때는 지온이 높을수록 빨랐다. 2. 경수는 기온 25℃ 에 지온 10℃ 구에서 가장 많았으나 이삭수는 기온 20℃ 구에 지온 10~15℃ 구에서 가장 많았다. 3. 망장, 수장, 추수도 및 간장은 기온 20℃ 에 지온 10℃ 구와 15℃ 로 유지한 구가 가장 길었고, 간장이 길수록 제일절간 비율이 높았다. 4. 단중과 근중은 기온 25℃ 에 지온 10℃ 와 15℃ 로 한 생육적온에 가까운 온도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T/R율은 기온 30℃ 에 지온 10~15℃ 로 한 구가 가장 높았다. 5. 수량은 기온 20℃ 에 지온 10~15℃ 로한 구가 가장 많았고 기온이 동일한 때에는 지온이 낮은 쪽이 높았다. 6. 기온이 20℃ 로 맥류생육에 알맞더라도 지온이 높으면 맥류생육에는 불리하여 맥류세대촉진을 위한 하계재배시에는 기온도 중요하지만 지온사절이 더 중요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air- and soil-temperatures on the major traits of barley including grain yield. Outdoor growth cabinet and soil temperature equipment were used for this study to control the air- and soil-temperatures during the plant growth. Earlier heading appeared at the higher soil-temperature under same air-temperature, and more stems showed when conbined with 25~circC of air-temperature and l0~circC soil-temperature than any treatment. There appeared, however, the longest spike length, awn length, distance from flag-leaf to spike and culm length at 20~circC of air-temperature and 10~circC or 15~circC of soil-temperatures. As far as grain yields are concerned, there showed the highest yield on the condition combined with 20~circC of air-temperature and 10~circC of soil-temperature.

저자
  • 河龍雄(맥류연구소) | 하용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