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품종의 재배지역에 따른 미질특성변이 I. 미질특성의 지역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Ⅰ. Locational Variation of Quality-related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미질에 관련된 주요 형질들의 지역변이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6품종이 벼를 '87-'88년의 2년간에 걸쳐 품종별로 8-20개 지역에서 수집하여 이들 각각의 도정률, 쌀의 외관, 아밀로스함량 및 알칼리 붕괴도, 관능검사에 의한 식미평가, 레오메타를 이용한 밥알의 조직감 그리고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쌀가루의 호화 및 점도특성을 조사하였다. 1. 조사한 미질관련형질 중 정현비율, 현백비율, 백미천립중 및 쌀의 아밀로스합량은 지역변이가 작았으나 완전백미비율, 쌀의 알칼리붕괴도, 쌀가루의 gel consistency, 심복백미비율, 심복백정도와 수명도의 지역변이는 상대적으로 컸으며 특히 심복백미비율의 변이정도는 공시한 6품종에서 모두 컸다. 2. 품종별로 '87년과 '88년 계속해서 심복백미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쌀을 생산한 지역은 추청벼의 경우 충주, 음성, 안성 및 영덕이었고 동진벼는 안성, 상풍벼는 상주(화서)와 안성, 삼강벼는 춘천, 연천 및 상주(화서), 그리고 용문벼는 상주(화서)와 연천이었다. 3. 관능검사법으로 조사한 식미형질들은 품종, 연도 및 조사항목에 따라서 지역변이정도가 다양하게 변하였으나 레오메타로 조사한 밥알의 조직감 중 식미지수 및 점착성의 지역변이는 매우 컸고 응집성 및 탄력성은 낮은 변이계수를 보였다. 4. 품종별로 식미지수가 2년 연속 평균치보다 높았던 쌀을 생산한 지역은 추청벼는 해당지역이 없고, 동진벼는 안성, 상풍벼는 이천과 영덕, 삼강벼는 여주, 그리고 용문벼는 안성이었고, 점성/경도 비율이 높았던 곳은 추청벼가 김포, 동진벼는 안성, 삼강벼는 이천과 이리, 그리고 용문벼는 춘천이었다. 5. 쌀가루의 아밀로그람특성 중에서는 set back, break down 및 최고점도의 지역변이가 컸다. Set back이 특별히 낮고 break down이 평균치보다 훨씬 높은 쌀을 생산한 지역을 보면 추청벼는 서산과 안성, 동진벼는 안성, 서산 및 화순, 삼강벼는 안성, 서산, 화순 및 계화도 그리고 용문벼는 안성과 충주였다.

Six commerical rice varieties were cultivated and harves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1987 and 1988 to clarify the degree of locational variations. of sev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rice grain quality using the rice samples harvested from 8 to 20 locations for a variety each year. Locational variations of percent brown rice, percent milled rice, 1000-grain weight and amylose content were small, but whole grain rate, alkali digestibility, gel consistency, percent white-center and white-belly grain, degree of chalkiness and degree of translucency showed larger variations between locations. The degree of locational variation of sensory evaluation score for eating quality of cooked rice were varied from small to large along with rice variety used and year cultivated. Texture palatability index and stickiness of cooked rice among rheogram characteristics showed larger locational variations, but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showed smaller variations between locations. Set back, break down and maximum viscosity showed larger locational variations among amylogram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a cultivated location, Anseong, because rice samples harvested at Anseong showed lower percent white-center and white-belly grain, and low set back and high break down in Chucheongbyeo, lower percent white-center and white-belly grain, higher texture palatability index and viscousness/hardness ratio, and low set back and high break down in Dongjinbyeo, higher texture palatability index, and low set back and high break down in Yongmunbyeo, lower percent white-center and white-belly grain in Sangpungbyeo, and low set back and high break down in Samkangbyeo. No other locations in this study produced rice samples showing wide acceptable quality-related characteristics except Anseong.

저자
  • 金光鎬(건국대학교 농과대학) | 김광호
  • 朱鉉圭(건국대학교 농과대학) | 주현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