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질소시비량이 단옥수수의 질소흡수, 수량 및 조수입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Nitrogen Uptake, Yield and Gross Income of Sweet Corn as Affected by Nitrog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단옥수수의 수량을 상품성 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이삭 크기별 시장가격을 적용한 조수입으로 평가하였을 때 이들 수량평가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단옥수수 품종 Golden Cross Bantam 70을 질소시비량(0, 5, 10, 15, 20kg/10a)을 달리하여 0.03mm 투명 P.E. film 피복하에서 재배하였다. 출아후 30일과 44일에 초장과 분벽수를 조사하였고, 이삭조사는 출사후 25일에 수확하여 포엽을 제거한 후 이삭의 수, 크기, 무게를 조사하고 무게별 이삭수,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조수입을 조사하였다. 1. 초장, 간장, 착수고, 분벽수는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고 출사기는 1-2일 빨랐다. 2. 수확기의 주간 엽면적지수는 1.5-1.9이었으며,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이삭의 질소함유율은 지비량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경엽의 질소함유율과 총질소흡수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질소이용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4. 상품성있는 이삭은 도매시장가격에 따라 상품(포엽 제거한 무게 150g, 포엽 포함한 무게 350g이상)과 중품(포엽 제거한 무게 100-150g, 포엽 포함한 무게 180-230g)으로 분류하였다. 가격은 출하시기, 상품의 품질 및 년차에 따라 현저히 달랐다. 5. 상품성있는 이삭이 평균 길이, 굵기, 무게는 질소시비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6. 포엽을 제거한 이삭무게가 150g 이상인 상품비율과 10a당 100g 이상의 상품성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크기별 가격과 이삭수를 고려한 조수입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7. 10a당 상품성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크기별 가격과 이삭수를 고려하여 계산한 조수입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질소시비량이 많을 때 상품성있는 이삭수와 무게로 수량을 평가하면 조수입보다 다소 과소평가되었다. 8. 이삭을 수확한 후 경엽의 건물수량은 740-963kg/10a으로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건물함량은 20.8-24.5%이었다. 9. 흑조위축병은 11.8-15.0% 리병되었으나 질소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A sweet corn hybrid, Golden Cross Bantam 70, was grown at 0, 5, 10, 15 and 20kg/10a of nitrogen (N) under the transparent P. E. film mulch to find the best yield evaluation method. Culm length, ear height, number of tillers increased and silking date was earlier by 1-2 days with increased N level. Leaf area index of main culm at harvest in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 Marketable ears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according to the whole sale market price; the frist grade of which husked ear weight over 150g (unhusked ear weight 230g) and the second grade of which husked ear weight between 100 and 150g (unhusked ear weight between 180 and 230g). Average length, thickness, and weight of both grades of marketable ear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N levels. The proportion of the first grade in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 However, total number and weight of marketable ears and gross income per 10a calculated considering weight and number of ears in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 There were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oss income and ear number or ear weight per l0a. The number and weight of marketable ears were underestimated at high N levels compared with gross income. Dry matter yield of stover ranged 740-963kg/10a and in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 with 20. 8-24.5% dry matter content.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fection rate was 11.8-15.0%, but it was not related to N level. N concentration in ear was similar but that in stover in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 Total N uptake increased but N recovery de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

저자
  • 李錫淳(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이석순
  • 崔相集(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최상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