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자생벼 계통의 탈립성과 이층조직의 특성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Grain Shedding and Histological Peculiarities of Abcission Region of Red Rice(Oryza sativa L.) Collected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 자생벼 수집 보존 계통들이 지니고 있는 우량 형질을 선발하여 벼 신품종 육종의 소재로 삼기 위하여, 우선 벼알과 소지경 사이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를 측정하여 자생벼들의 탈립성정도를 분급함과 동시에 외국산 적미들 및 우리나라 재래종, 통일형 및 일본형 등 주요 품종들과 비교하였으며, 자생벼들의 탈립성이 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벼알 탈락부위에 형성되는 이층조직의 유무 및 붕괴성과 벼알의 탈립성정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벼알 탈락부위의 몇 가지 해부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자생벼들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는 외국산 적미들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통일형 품종과 재래종 및 일본형 주요 품종들 보다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벼들 중에서는 최근 수집된 '샤레'들이 가장 약했다. 2. 우리나라 자생벼를 비롯한 모든 공시 품종에서 항곡강도와 인장강도 사이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3. 우리나라 자생벼들 중 대부분은 소수축과 소지경 선단 돌출부 사이에 이층조직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단립적색종 및 단립갈색종들은 거의 모두 붕괴되지 않은 이층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며, 장립적색종 및 '샤레'들은 붕괴되는 이층조직을 가지고 있었고, 이층조직이 없는 자생벼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4. 자생벼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는 이층조직이 붕괴되는 것, 이층조직이 붕괴되지 않는 것 그리고 이층조직이 없는 것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5. 자생벼들 중 장립적색종들은 소지경 선단 돌출부의 직경, 중심 유관속의 직경, 벼알 부착부의 직경 중심 유관속 주변의 후벽조직 두께 및 소지경선단 돌출부의 길이 등 벼알 탈락부위의 해부형태학적 특성이 다른 자생벼들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자생벼에서 장ㆍ단위종 모두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와 벼알 부착부의 직경 및 중심 유관속 주변의 후벽조직 두께와의 사이에는 각각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grain shedding of red rices collected in Korea, breaking tensile and breaking bending strengths of 269 varieties; 82 Korean and 100 foreign red rices and 87 Korean cultivars including 26 native varieties, 30 Japonica-Indica hybrids and 31 Japonica type varieties, were measured at harvest time. Also,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scission region between spikelet and pedicel were observed. The breaking tensile and breaking bending strengths of both Korean and foreign red rices were weaker than those of Japonica-Indica hybrids which were known as easily shedding varieties in Korea. Abscission layers were observed in the majority of Korean red rices except for 5 varieties, and those of all varieties belonging to both long grain types and 'Sare's were cracked completely at harvest time, while those of round grain types were not cracked except one variety. The breaking tensile and breaking bending strengths of the tested varieties having cracked abscission layer were weaker than those of non-cracked ones. Both strengths of breaking tensile and breaking bend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meter of supporting zone and thickness of sclerenchyma tissue surrounding central vascular tissue of suporting zone at 0.1% significant level, respectively.

저자
  • 林元栽(순천대학) | 임원재
  • 崔光貴(순천대학) | 최광귀
  • 陳日斗(순천대학) | 진일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