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쌀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의 품종간 차이와 환경변이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and/or Amino Acid Composition of Rice S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 수도장려품종 1988년 및 '89년산 미와 중ㆍ남부평야지대 6개소(수원, 남양, 이천, 이리, 계화, 밀양)에서 생산된 7개 품종(자포니카 5, 통일형 2)과 중북부 및 남부중산간지와 고랭지 4개소(철원, 진부, 화서, 운봉)에서 생산된 6품종에 대하여 쌀 단백질 함량의 품종 및 환경변이를 분석ㆍ조사하고 단백질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화성벼, 농백 및 용주벼의 세 품종에 대한 아미노산조성을 조사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벼 장려품종의 백미 단백질 함량은 '88년산미는 평균 7.93%에서 5.5-10.2%의 변이, '89년산미는 평균 9.17%에서 6.3-12.0%의 변이로 현저한 년차간 변이를 나타내었고 자포니카 품종군의 평균 단백질 함량 8.22%에 비해 통일형 품종군이 9.3%로 약 1%정도 높았다. 백미 단백질 함량이 높았던 품종은 자포니카에서는 농백, 도봉벼, 치악벼 등이었고, 통일형 품종군에서는 용문벼, 용주벼, 칠성벼 등이었다. 2. 자포니카 저단백 품종인 화성벼는 자로니카 및 통일벼 고단백 품종인 농백 및 용주벼에 비해 필수아미노산 함량의 절대함량은 낮았으나 질소 16.8g당(단백질 100g에 해당)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31.7%로 다른 두 고단백 품종과 비슷하였으며 아미노산중에서 화성벼는 arginine, 농백은 alanine과 lysine, 용주벼는 leucine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중에서 세 품종 모두 글루타민산 함량이 가장 높았고 필수아미노산중에는 leucine이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이 가장 낮았다. 3. 쌀 단백질 함량은 한생종일수록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고 백미투명도가 떨어지고 Mg함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K/Mg율, 알칼리붕괴도 및 아밀로즈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자포니카 품종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4. 쌀 단백질 함량은 중부평야지산미가 평균 6.74%로 남부평야지산미의 평균 7.54%에 비해 약 1%정도 낮았고 단백질 함량의 품종간 변이와 산지간 변이의 전분산에 대한 기여율이 각각 55.8%와 28.1%로 품종간 변이가 산지간 변이보다 두배정도 컸다. 5. 중북부 중산간지 및 고랭지산미의 쌀 단백질함량은 평균 5.95%로 남부 중산간지 및 고랭지산미의 6.8%보다 약 0.8% 정도 낮았고 단백질 함량의 품종간 변이와 산지간 변이의 전분산에 대한 기여율은 각각 16.7%와 56.4%로 산지간 변이가 품종간 변이보다 약 4배 가까이 컸다.

Varietal difference of protein content in forty eight Korean recommended rice cultivars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harvested at six sites of the middle and/or southern plain and four locations of mid-mountainous and/or alpine area in 1989 were investigated. Also,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 in milled rice was compared among three rice varieties: a high-protein japonica rice, Nongbaek, a high-protein Tongil-type rice, Yongjubyeo, and a low-protein japonica rice, Hwaseongbyeo. Korean recommended rice varieties showed 7.93% of average protein content with varietal variation from 5.5% to 10.2% for milled rice harvested in 1988, and 9.17% of mean protein content with the variation from 6.3% to 12.0% for milled rice harvested in 1989. Tongil-type rice was about 1% higher in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than japonica. The low-protein japonica rice, Hwaseongbyeo exhibited lower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s per g of rice flour sample than the high-protein japoinica, Nongbaek and/or Tongil-type rice, Yongjubyeo, but the relative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s per 16.8g of nitrogen in milled rice of the former was not so different with those of the latters. Among amino acids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highest and among essential amino acids the content of leucine was highest while methionine was lowest.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K/Mg ratio, alkali digestion value(l-7) and amylose content,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nslucency and magnesium content of milled rice.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harvested in the southern plain paddy field was about 1% higher compared with those harvested in the Middle plain. Also,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harvested in the southern mid-mountainous and alpine area was about 0.8% higher compared with those harvested in the resemble altitude area of the middle-northern part of Korea. The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variation to total in plain area was about 28.1% while that in mid-mountainous and alpine area was about 56.4%.

저자
  • 崔海椿(작물시험장) | 최해춘
  • 趙守衍(작물시험장) | 조수연
  • 金光鎬(건국대학교 농과대학) | 김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