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조성 KCI 등재

Variation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Germpla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들깨 장려품종과 지방수집재래종 도입종 등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최저 17.9%에서 최고 28.1%까지 10.2%의 변이폭을 보여 주었고 평균 함량은 23.6%였으며 대부분 21-25% 범위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은 남지종, 산동종, 은진종 등 7품종을 선발하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유래별로는 전남지역에서 수집된 품종이 가장 높았고 숙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종파색은 은회색이, 1,000립중은 무거운 대립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단백질 함량과 임실율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과 기름함량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과 1,000 립중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 Micro-kjeldahl법과 비교한 NIR법의 단백질 calibration 정밀도는 0.27%였다. 5. 들깨 95품종을 대상으로 micro-kjeldahl법과 NIR 분석법에 의한 단백질 함량 차이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표준편차 차이는 0.34%를 보여 주었고, 분석방법간에 고도의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6. 엽실들깨등 4품종의 아미노산 조성은 FAO권장량보다 높아 그 우수성이 인정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서 총량은 품종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lysine과 methionine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7. 들깨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아었다.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quality improvement, seed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were analyzed in 460 strains of perilla germplasm. Among the tested strains, total protein content ranged from 17.9% to 28.1 % with the 23.6% of varietal means. Form the experiment, Namji, Sandong, and Eunjin were selected as high protein strains of which content was as high as 28.1%. In protein content, collected strains from Jeonnam province showed highest,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maturity, but this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by seed coat color and 1,000 seed weight. Th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rotein content and seed setting ratio.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significant and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and oil content. A calibration for an Infra-Alyzer 450 using log reflectance readings at 2208, 1982, 1940 and 1722nm could be used without adjustment for the measurment of the protein content in perilla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s against micro-kjeldahl of 0.27%.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perilla was similar to the other oilseed crops, and showed a relatively high lysine and methionine content. Further, amino acid composition of perilla seed was exellently characterized with bal ance and higher than FAO recommendation. Major amino acids were indentified as a glutamic acid and arginine in perilla seed protein.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方鎭淇(작물시험장) | 방진기
  • 李奉鎬(작물시험장) | 이봉호
  • 金光鎬(건국대 농대) | 김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