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6배체 트리티케일X밀 잡종 초기 세대의 염색체수 변이 KCI 등재

Variation in Chromosome Number in Early Generation from Cross between Hexaploid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and Wheat (Triticum aestiv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6배체 보통밀 5개 품종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화분 모세포와 체세포의 염색체수 변이를 검토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리티케일과 밀의 F1 에서 화분모세포 염색체수는 조합간 변이를 보였으며 5조합 평균으로 볼때 1가 염색체 11.9, 2가 염색체 14.4, 3가 염색체 0.44개였다. 2 트리티케일과 밀의 F1 화분 임성과 교잡률 (F1 , F2 , F1 /P2 ), 화분임성과 염색체수, 2가 염색체수와 교잡률(F1 , F2 , F1 /P2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F1 화분 임성 및 교잡률과 1가 염색체및 3가 염색체수와는 각각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체세포 염색체수는 F1 은 42개였고 F2 와 F1 /P2 은 고이수체(42개 이상)빈도가, F1 /P2 은 저이수체(42개 이하)의 빈도가 높았다. 4. 이하의 결과는 트리티케일과 밀을 교배하여 얻은 F2 나 여교잡세대에서의 체세포 염색체수 구성이 Random이 아님을 암시하고 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variation of chromosome number in pollen mother cell (PMC) and somatic cell of the progeny from the cross between hexaploid triticale cv. Sinkihomil and five hexaploid wheat varieti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Number of uni-, bi- and tri-valent in PMC was 11.9, 14.4 and 0.44, respectively, in the F1 between triticale and whea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llen fertility and seed set rate, pollen fertility and bivalent number of PMC, and seed set rate and bivalent number of PMC,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llen fertility and uni-or tri-valent of PMC in the cross between triticale and wheat were detected. F1 (crossed seed) had 42 chromosomes, F2 and F1 /P1 showed high frequency of hyperploid (42-49) and F1 /P2 showed high frequency of hypoploid (36- 42), which suggest non-random segregation for somatic chromosome number. in the cross between the triticale and wheat.

저자
  • 黃鍾珍(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황종진
  • 李弘䄷(서울대 농대 농학과) | 이홍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