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의 질소분시비율 KCI 등재

Nitrogen Split Application of Direct-seeded Rice in Tillage and No-tillage 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7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수도를 건답휴립직파할 때 질소분시비율이 수도의 생육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직파재배용으로 육성중인 밀양 9005의 건조종자를 6kg / 10a 수준으로 1990년 5월 17일 산파하고, 맥류휴립산파기로 복토하였다. 질소-인산-가리를 15-10-10kg /10a 수준으로 시용하였는데 인산과 가리는 모두 기비로 시용하였다. 질소는 기비 : 담수직후 : 담수 2주후 : 출수 25일전 : 출수기에 요소를 10 : 20 : 30 : 20 : 20%, 20 : 30 : 20 : 20 : 10%, 30 : 40 : 0 : 20 : 10%로 분시하였고, 완효성시비료는 질소가 40%이고, 비효특속기간이 120일인 latex 피복한 요소를 전량기비로 시용하였다. 경운에서는 무경운에 비하여 출수기가 1일 지정되었고, 출수기의 엽면적지수가 컸으며, 도복지수가 적었을 뿐 입묘수, 수량, 수량구성요소, 도복관련형질 및 간기부의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질소분시비율간에는 완효성비료 전량기비구에서 간장, 유효경비율, 간기중, 천립중, 수확지수가 더 컸으며, 무경운의 완효성비료 전량시비구에서 수량이 더 높았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생육 초기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이 가장 낮았지만, 출수기 이후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은 다른 질소분시구보다 높았다. 분얼수는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고, 생육초기에는 질소의 기비비율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생육중기에는 20 : 30 : 20 : 20 : 10%의 분얼수가 가장 높았지만 유효경비율이 달라 수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Growth characters of dry seeded paddy rice was studied at different levels of nitrogen(N) split application (basal : immediately after irrigation : 2 weeks after irrigation: 25 days before heading: heading stage with 10 : 20 : 30 : 20 : 20%, 20 : 30 : 20 : 20 : 10%, 30 : 40 : 0 : 20 : 10%, and 100% basal of slow release urea) in tillage and no-tillage systems. On May 17 in 1990, 6kg /10a of dry seeds of a breeding line of Milyang 95 was broadcasted and covered with a power tiller. Between tillage and no-tillage systems yield and its components, lodging related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of culm base were similar. Leaf area index at heading stage was higher in tillage, but lodging index was lower compared with those in no-tillage plot. Culm length, effective tiller ratio, culm base weight, 1000-grain weight, harvest index in slow release N applied plot were higher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N treatments. Grain yield of rice among levels of N split applications was similar in tillage, but it was higher in slow release N applied plot in no-tillage if 1kg /10a of additional N was applied as urea at panicle formation stage. At early growth stage N concentration and N uptake were lower in the slow release N applied plot, but higher after heading stage compared with other N treatments. The number of tillers was lowest in slow release N applied plot during the tillering stage, but th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was similar to other N treatments.

저자
  • 李錫淳(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이석순
  • 洪承範(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홍승범
  • 白俊鎬(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백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