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도가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출엽속도와 출엽간격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Temperature on Leaf Emergence Rates and Phyllochron of Naked and Malting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7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온도가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출엽속도와 출엽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쌀보리 3품종(능쌀보리, 새쌀보리, 향천과 001)과 맥주보리 3품종(두산 8호, 사천006, 진광보리)을 향온 7수준(4, 8, 12, 16, 20, 24, 28℃ )과 변온 7수준[6/2(명기 / 암기), 10/6, 14/10, 18/14, 22/18, 26/22, 30/25℃ ]으로 유지시킨 생장상에서 4엽기까지 키우면서 매일 주간엽수를 조사하여 출엽속도 및 출엽간격를 산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온과 변온에 관계없이 공시품종 모두 동일 온도내에 있어서는 출아후 일수가 증가됨에 따라 주간 출엽수도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평균기온 28℃ 를 제외하고는 출아속도와 출아간격이 항온과 변온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아속도와 출아간격은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동일 품종내 온도간에도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기온이 증가됨에 따라 일당 출아속도는 출아 최적온도까지 곡선적으로 증가된 다음 감소되었는데, 6품종의 출아 최적온도는 20.1~21.5℃ 로 품종간 현저한 차이는 없었으나 출아 최적온도에서의 출엽속도는 쌀보리가 0.202~0.226엽/일, 맥주보리가 0.231~0.241엽/일으로 맥주보리가 큰 경향이었다. 평균이온이 증가됨에 따라 유효적산온도당 출엽속도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되었고, 출엽간격(일엽당 적사온도)은 지수함수적인 증가를 보였는데, 6품종의 평균 출엽간격은 4℃ 에서 46.2GDD/엽, 28℃ 에서 129.3GDD/엽이었다.ose와 fructose가 초기에는 많았으나 후에는 상당히 적어졌다. 줄기는 glu-cose가 많고 기타는 흔적 정도 였으며 뿌리는 초기에 sucrose가 종자에서 보다 높았으나 그 후 모든 당이 거의 흔적뿐이었다.과 GA3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조합내 개체들간에 간장의 분리를 인정할 수 없었고, GA3 처리에 무반응성을 보였다. 따라서 Fukei 71의 단간유전자 d50은 GA3 무반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에서 G1 기는 길어졌고 G2 기와 M기는 짧아졌다. 그러나 서광벼에서는 각 phase의 상대적 기간이 거의 일정한 비율이었다. 3. DNA, RNA 및 protein 합성은 온도가 하항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에 의해서는 최고분얼기나 유수분화기에 처리하면 수당 영화수가 감소하였으나 감수분열기에 처리하면 수당 영화수가 변하지 않았다.장기였고 건구의 수량감수가 심한 시기는 수잉기였다. 따라 미개약 영화가 많은 품종과 개화 수분이 모두 이루어지지만 불임이 되는 품종도 볼 수 있었다. 5. 냉해의 유묘 검정 결과에서 관찰조사와 처리에 의한 생육 억제 정도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으나 종합적으로 볼 때 제 002, 팔금, 수성 등은 냉해에 강하고 수원 213-1, 재건, 팔달, Shirogane, 팔굉, 만경 등은 약하였다. 6.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 처리 시의 일심율과 유묘 시의 냉해 정도 및 생육 억제 정도 등의 상호 관계를 살펴본 즉 대체로 유의적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련성을 보였는데, 특히 전체적인 비만도를 평가하는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의 증가는 심혈관계질환의 예측지표로 볼 수 있는

Three naked and three malting barley cultivars were grown at constant temperatures of 4, 8, 12, 16, 20, 24 and 28~circC , and day/night temperatures of 6/2, 10/6, 14/10, 18/14, 22/18, 26/22 and 30/26~circC through the fourth leaf stage in growth chamber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emperature on leaf emergence rate and phyllochron in naked and malting barley seedlings. The number of leaves per main stem was recorded daily from the first leaf stage to the fourth. At a given temperature, the emergence of new leaves was a linear function of time for all cultivars. There were no great differences in leaf emergence rate and phyllochron between constant and variable day/night temperature regimes except at 28~circC . Leaf emergence rate and phyllochron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cultivars and among mean temperatures within cultivars. For all cultivars, leaf emergence rate per day increased parabolically with increasing mean air temperature until an optimum temperature was reached and then declin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ptimum temperatures for the leaf emergence rate per day among six cultivars, which ranged 20.1 to 21.5~circC . The leaf emergence rates at the optimum temperatures ranged 0.202 to 0.226 leaves / day for naked barley cultivars and 0.231 to 0.241 leaves / day for malting barley cultivars. As temperature increased, leaf emergence rate per GDD decreased exponentially and the phyllochron (GDD/leaf) increased exponentially. The mean of the phyllochron for six cultivars was 46.2 GDD at 4~circC and 129.3 GDD at 28~circC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mperature and cultivar effects must be considered for prediction of leaf development in barley.

저자
  • Young Kil Kang | 강영길
  • Koan Su Ko | 고관수
  • Bong Kyoon Kang | 강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