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수확전 파종 보리의 생육과 수량성 KCI 등재

Growth and Yield of Barley Broadcasted before Rice Harv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수확과 맥류파종간에 노동력 및 농기계에 대한 경합을 분산하면서 무경운에 의한 파종작업의 조방화로 성력효과를 기하고자 벼 수확전 입모중에 맥류 종자를 전면 산파하고 벼 수확시 볏짚으로 맥류종자를 피복되게 하는 파종법을 트렉터부착 줄뿌림 파종기에 대한 휴입세조파 방법과 비교하였다. 파종방법간 비교시험은 올보리를 공시하여 1990~1994년 4사맥작기간 동안 대전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입모중 파종기 시험으로 벼 수확전 1일, 5일, 10일, 15일에 파종한 후 파종기 차이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1992~1994년까지 2작기 동안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입모중 보리 산파는 세조파에 비하여 월동전후 초장이 길고 분얼수가 많았으나 월동후 고엽율은 평균 17.4%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은 세숙파에 비하여 입모중 파종에서 저조하였고, 출수기와 성숙기는 두 파종방법간 비슷하였다. 3. 수량은 입모중 파종에서 평균 364 kg / 10a로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평균 20.6% 감소하였고 이는 주로 m2 당 이삭수 및 1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4. 벼 수확전 파종일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 수량성은 유의성이 없었다. 5. 입모중 파종이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연차간 변의가 높았다.

The studies were conducted to escape for laber concentration during rice harvest and barley sowing through the scattering sowing before rice harvest(SS) compared to the drilling on high ridge(DS) of barley from 1990 to 1994. There were longer in plant height and more in tiller number under the SS than those under the DS of barley while cold-injured leaves of barley were inversely affected by two different sowing methods. The barley growth was more vigorous in the DS. There was similar at heading and maturing date. The grain yield of barley was lower in the SS by 20.6% which was resulted from the reduction of spike number per m2 and number of grain per spike. There was not significant at growth and yield for sowing date before rice harvest. The variation of successive years on growth, yield and its components were higher in the SS than those in the DS.

저자
  • 曺章煥(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조장환
  • 金昌榮(충남농촌진흥원) | 김창영
  • 文昌植(충남농촌진흥원) | 문창식
  • 金七鉉(충남농촌진흥원) | 김칠현
  • 朱珽一(충남농촌진흥원) | 주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