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옥수수 발아시 종자내 당함량의 변화와 발아 특성 KCI 등재

Changes of Sugar Content during Germination and Germinability in Cor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옥수수 종자 발아시 배아의 전분이 분해되어 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당류의 조성 변화 및 대사를 구명하고져 감미중 Golden cross bantom 70과 마치종 수원 19호를 시용하여 발아중의 식물 전체 및 배아를 경시적으로 HPLC로 분석하여 옥수수 종자 발아생리에 관한 기초결과를 얻고자 행한 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종자중의 momo-oligosaccharides에서 감미종은 mono-saccharide가, 마치종은 sucrose가 많았고, 발아 초의 높은 mono-saccharid 함량은 발아를 촉진시켰다. 2. 발아중 옥수수 종자 식물체에서 생성되는 주요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등 3종이었다. 3. 수원19호와 Golden cross bantam 70 두 품종 모두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sucrose의 조성함율은 급속하게 감소되고 glucose와 fructose의 함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발아 유식물 전체와 배아 부위간에 있어 수원19호 및 Golden cross bantam 70 모두 발아 초기에는 mono saccharide의 glucose가 배아에는 적고 배아를 포함한 전체에는 많았으나, 발아 후기에는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nge of sugar content during germination in corn, which were analyzed by using HPLC. Germination percentage and growth rate of Golden cross bantam 70 were higher than those of Suweon 19. The emergences of radicle and plumule of Golden cross bantam 70 were faster compared to those of Suweon 19. Three major components,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were detected during germination. Content of sucrose in two tested hybrids decreased rapidly as time passes. In embryo of Suweon 19, the content of sucrose was 38.92% on 12 hours after incubation but decreased to 4.52% on 72 hours. In that of Golden cross bantam 70, it decreased rapidly more than Suweon 19 from 53.03% on 12 hours to 8.18% on 72 hours.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increased.

저자
  • 金鍾震(경북대학교 농학과) | 김종진
  • 李英燦(경북대학교 농학과) | 이영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