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낭콩 발아중 유묘 부위별 당함량의 변화 KCI 등재

Variation of Sugar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Seedling during Germination in Phaseolus vulgar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비배유종자인 두류는 발아시 자엽내 전분 energy원이 어떻게 분해 전이되어 배아부로 공급되는가를 구명하고자 자엽에 당질이 많고 종자수명이 긴 강남콩을 공시하여 발아과정중 경시적으로 유식물체를 부위별로 절취하여 건물중과 당류의 경시적 소장 및 이동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강남콩 종자에서 자엽 부위의 수분 함율은 6.4 ∼6.5%이나 발아 기간중 ( 1∼8일) 흡수율은 45.8∼71.2%로 증가되며 자엽 하반부가 후엽 상반부보다 1.1∼3.8% 높았다. 자엽을 제외한 근부(유아 + 유근 + 유축부)의 조직 기관에서는 더욱 많은 72.2∼93.3%로 자엽조직보다 현저한 함수율을 보였다. 2. 발아중 강남콩 종자의 주요 당류는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이며 경시적 당류 소장이 부위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종자가 파종 흡수되면 각 기관 조직에 raffinose가 급증하나 발아가 완료되면 유아부에서는 소진되고 자엽 하반부에서는 다소 잔존함을 알 수 있었다. 4. Sucrose는 발아초 신생 유아부와 종자의 자엽에 많이 생성되나 발아 후 유아부에서는 급감되고 자엽 조직에서는 계속 생성되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5. Glucose와 fructose는 종자의 자엽부에서는 발아 기간중 5∼l0%와 5∼l5% 범위의 적은 변화였으나 유아 및 생장부위에서는 발아 초기부터 후기까지 현저히 계속 증가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the find variation of the sugar contents in the tip and basal part of the cotyledon and remaining portion of embryos in Phaseolus vulgahs seeds during germination with HPLC analysis method. Water content in cotyledon of kidney bean seed was about 6.4~6.5 of fresh weight and incresed to 45.8~71.2% during germination showing that tip part of cotyledon has more water content by 1.1~3.8% compared to the lower part of it. Higher water onten was observed in the rest parts of the seed except cotyledon such as plumule, radicle and hypocotyl showing that it increased to 72.2~93.3% depending on the different tissue organs. Main important sugars in kidney seeds during germination stages are; raffinose,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nd the amount are differed with the kinds of embryo in kidney bean seed organs and stages of germination. Raffinose amount in kidney bean is increasing repeatly when seeds become wet but disappear it soon after seed have germinated especially in growing embryo parts. Raffinose in basal parts of cotyledons were still presented some an amount after germination. Sucrose is synthesized highly in plumule embryo at the beginning stage of germination but disappeared it from 5 days after seeding stages. Amount of sucrose in cotyledon of kidney seeds and seedlings increased continuously after germination. The amount of glucose and fructose in the cotyledons of kidney seeds during germination varied 5~10% or 5~15% but in the germinating and growing organs, plumule, they increased continuously after germination.

저자
  • 金鐘震(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김종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