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조 뿌리의 유리 아미노산과 정유 성분 조성 KCI 등재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and Essential Oils in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전조의 근에 대한 조성분, 유리 아미노산, 향기성분 등의 분석을 통하여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조 뿌리의 조성분가운데 조단백질은 7.69%, 조지방 1.74%, 조섬유 2.44%, 그리고 조회분은 3.76% 였으며 엑스 함량은 27.68%로 나타났다. 2. 유리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서 종류는 총 16종이었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에 따른 순위는 phenylalanine>tyrosine>arginine>alanine>glutamic acid>aspartic acid>lysine>isoleucine>proline>glycine>histidine>thereonine>leucine>methionine>valine, serine이었고 유리 아미노산 함량 중 가장 높은 아미노산은 phenylalanlne으로 6.38 mg이었다. 3. 전조의 뿌리에 대한 향기성분은 α -pinene, d-1imonene 등의 mono terpene류가 11종이었고 methyl eugenol 등의 phenyl propanoid류가 3종, 기타 8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식물정유의 수율은 0.58%였다. 4.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산 전조에 대한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금후 향기성분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재배법 연구의 일환으로 차광, 재배거리, 시비량 등의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ompositions of proximate components, free amino acid, and essential oils from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Proximate component contents were 7.69% for protein, 1.74% for fat, 2.44% for fiber, and 3.76% for ash. Extract content was 27.68% in fresh root. The compositions of free amino acids consisted 16 kinds. Phenylalanine content was the highest in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The essential oils of the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was examined. α -pinene, campreol, ,β -pinene, sabinene, myrcene, phellandrene, α -terpinolene, d-limone, ~gamma -terpinene, p-cymene, α -terpinolene, carboxaldehyde, 3-cyc1ohexen-l-carboxaldehyde, 2-nonenal, isobornyl acetate, 4-terpineol, β -bisabolene, cis-piperitol, p-cymen-8-ol, BHT, methyl eugenol and 2-methoxy-4-vinyl-phenol were identified from the diethylether layers.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s of Anthriscus sylvestylis of root was 0.58%.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plant is worthy of cultivating as spice and medicinal crops.

저자
  • 金相國(경북농촌진흥원) | 김상국
  • 權泰龍(경북농촌진흥원) | 권태용
  • 閔基君(경북농촌진흥원) | 민기군
  • 李承弼(경북농촌진흥원) | 이승필
  • 崔富述(경북농촌진흥원) | 최부술
  • 李相哲(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이상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