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예용 수수류 일대 잡종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대한 잡종강세 KCI 등재

Heterosis of Growth Characters and Biomass Production in Interspecific Hybrid of Forage Sorgh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수류 청예용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청예용 수수X단수수, 수수X수단그래스 및 (수수X단수수)X수단그래스 교잡군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대한 잡종강세 정도를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생육관련형질에 대한 F1 의 잡종강세에서 단수 수교잡군에서는 상중과 엽중이, 수단그래스 교잡 군에서는 체중이, 3원교잡군에서는 엽면적의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났으며, 단수수교잡군은 초고 및 간의 직경이 켰고, 수단그래스교잡군은 개체당 분얼수가 많았다. 2. 총건물수량에 대한 F1 의 잡종강세에서 단수수 및 수단그래스교잡군에서는 각각 평균 He-terobeltiosis 45.9%와 95.0%의 잡종강세를 보였으나, 3원교잡군에서는 우수친보다 낮았으며, 교잡군별로는 단수수교잡군이 수단그래스교잡군보다 건물수량이 다소 높았다. 3. 건물수량에서 양친과 잡종의 상호관계는 단수수교잡군에서는 잡종강세는 양친의 수량과는 무관하였으나 잡종의 수량은 양친의 수량이 높을수록 높아졌고, 수단그래스교잡군에서는 잡종강세는 양친의 수량과는 부의 상관이었으나 잡종의 수량은 양친과는 무관하였으며, 3원 교잡군에서는 잡종강세 및 잡종수량이 양친의 수량과는 관계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fundamental informations necessary to breed forage sorghum at the field of the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from 1988 to 1991. Heterosis was discussed in crossing groups of sorghum X sweet sorghum, sorghum X sudangrass, and (sorghum X sweet sorghum) X sudangrass. Leaf dry weight and stalk dry weight per plant in sweet sorghum crossing group, stalk dry weight per plant in sorghum X sudangrass crosses and leaf area per plant in three way crosses showed the greatest Heterobeltiosis(Hb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 height, stalk diameter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 between sweet sorghum and sudangrass crosses. Hb for total dry matter yield in sweet sorghum and sudangrass crosses were 45.9% and 95.0%,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heterosis for total dry matter yield in three way crosses was smaller than Hb .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ry matter yield of parents and heterosis of hybrids in sweetsorghum crosses. However,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yield and hybrid yields were observed. In sudangrass crosse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yields and heterosis of hybrids. However, no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yields and hybrid yields were observed. In three way crosses,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yields and heterosis, and between parental yields and hybrids yields.

저자
  • 姜正勳(농업과학기술원) | 강정훈
  • 李浩鎭(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이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