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Priming, Temperature and Light Quality on Germination of Pokeweed(Phytolacca americana) S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미국자리공은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선진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환경오염이 심한 공단 인접지역에 거대한 군낙을 형성하여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어서 이의 자원화 및 번식억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nitrates를 이용한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priming 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priming 처리한 종자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치상 8일 후부터 C3(NO3 )2 처리에 비하여 KNO3 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KNO3 를 이용한 priming 처리에서 처리 농도를 증가할수록 발아율은 증가하나 150mM과 300mM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priming 처리기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1일과 3일에 비하여 6일간 처리할 때에는 발아가 현저히 둔화되었다. 3. 광질에 관계없이 발아온도 20℃ 항온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주/야 20/30℃ 변온, 30℃ 항온, 주야 30/20℃ 변온의 순서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4. 암상태보다는 빛이 있는 조건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백색광에 비하여 적색광에서 발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5. 주/야 30/20℃ 또는 20/30℃ 변온에서 Priming을 가한 종자는 암상태에서도 발아되었다.-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β-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α -terpinene, ledene, 1-borneol, λ -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λ -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δ -guaiene, δ -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β-endesmol, α -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β-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β-eudesmol, δ -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β-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Pokeweed, a polycarpic plant, has been used as herbage medicine, vegetable or dye. It, however, is known as an aggressive plant in the vicinity of the industrial area evolving air pollutants. The experiment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iming using nitrates, germination temperature and light quality on germination of its seed to get information on the optimum germination process as well as its establishment. The daily percent germination was measured to 12 days after sowing since its seeds were treated by two different nitrates [KNO3 , Ca(NO3 )2 ]. their different concentrations (0, 50, 150, 300mM), then treatment duration (1, 3, 6 days), different germination temperature (day /night; 30/30, 30/20, 20/30, 20/20~circC ) and light quality (red, white, dark) before or during germination. The percent germination was greater in the KNO3 treatment than in the Ca(NO3 )2 but in the priming treatment with KNO3 in comparison with no-priming. In the priming treatment with KNO3 , the percent germination was increased with its increased concentration to 150mM although decreased with delayed duration to 6 days. Regardless of light quality, the greater percent germina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20~circC constant and 20/30~circC alternative, 30~circC constant, 30/20~circC alternative temperature. The germination was less in the dark during germination than in the illumination in which the red light had greater percent germination compared to white light. The seeds primed with KNO3 were germinated under the alternative temperature even in the dark condition.

저자
  • 姜晋鎬(경상대학교 농학과) | 강진호
  • 柳永燮(경상대학교 농학과) | 류영섭
  • 金東一(경상대학교 농학과) | 김동일
  • 李外淑(경상대학교 농학과) | 이외숙
  • 金成姬(경상대학교 생물학과) | 김성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