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재배포장의 노린재류 발생 및 콩 피해실태 KCI 등재

Field Occurrence of Stink Bug and its Damage in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3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콩에 발생하는 노린재류의 피해실태와 약제방제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7부터 1998년까지 경북농업기술원 전작포장에서 실시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북 남부지역 콩포장에 발생하는 노린재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색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가로줄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등 9증이었다. 2. 콩 품종별 노린재류의 피해립율은 두유콩, 신팔달콩2호, 삼남콩, 만리콩, 단경콩 등 단경품종군에서 15.2-27.0%, 한남콩, 장수콩, 푸른콩, 무한콩 등 장경품종 군이 36.1-50.0%였고, 피해협율도 같은 경향이었으며, 또한 100개체당 생충밀도는 단경품종군에서 5.0-12.5마리, 장경품종군에서는 10.3-30.0마리로 단경품종군이 노린재류의 선호도가 낮았지만 노린재류에 대한 저항성을 보인 품종은 없었다. 3.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색노린재는 대체로 기온이 높을때 발생밀도가 높아 협에 피해가 많았고, 썩덩나무노린재, 가로줄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는 기온이 서늘할 때 발생이 많았으며 대체로 종실에 피해가 많았다. 4. 8월 24일부터 9월 17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3회 약제살포후의 노린재류 생충밀도는 100개체당 무처리 40.3마리에 비해 아조포유제 3.7, 메프수화제 5.3, 나크수 화제 3.0마리로 약제방제효과가 높았다. 5. 약제방제후 피해립율은 무처리 33.8%에 비해 약제처리구는 4.4-10.3%였고, 아조포유제 83.4%, 메프수화제 69.5, 나크수화제 87.0%의 방제가를 보였다. 수량은 ha당 무처리구 1.92MT에 비해 약제처리구에서 38-45%증수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the degree of damage by stink bugs at the soybean fields of Kyo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1997 to 1998. Thirty different soybean varieties including Hwangkeumkong were used. Stink bugs collected in the soybean fields were Riptortus clavatus, Nazara antennata, Piezodorus hybneri, Dolycoris baccarum, and Halyomorpha halys, etc. The damage rates by stink bug were 5.0-12.5% in determinate types and 36.1-50.0% in indeterminate ones, which indicated that stink bugs preferred indeterminate types to determinate ones. The control values to sting bugs by fenitrothion, triaazophos, and carbaryl, were 83.4%, 69.5%, and 87.0%, respectively.

저자
  • 孫唱琦(경상농업기술원) | 손창기
  • 朴尙求(경상농업기술원) | 박상구
  • 黃永鉉(경북대학교 농학과) | 황영현
  • 崔富述(경상농업기술원) | 최부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