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성이 다른 보리의 월동전 예취회수에 따른 청예 및 종실 겸용 재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Practice in Dual-purpose Barley for Forage and Grain with Early-sown Barley having Different Winter Habi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남부지방 벼-맥류 이모작 작부체계에서 단기성 벼를 수확한 후 맥류를 조기 파종하여 월동전에 예취하여 겨울동안 신선한 청예사료로 활용하고 다음 해에 종실을 수확하여 사용하는 재배법을 확립하여 맥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사료작물 자급도 향상을 꾀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장은 모든 품종이 2회 예취시 1회 예취보다 길었으며, 조기 파종맥류를 월동전 예취했을 때 관행 적파에 비해 간장단축은 없었다. 2. 단위면적당 수수는, 예취처리가 관행 적파보다는 감소되었으나, 2회 예취에서 1회 예취보다 많은 수수를 확보하여 수량구성에 기여하였다. 3.조기 파종 맥류의 월동전 예취에 의한 청예수량은, 예취 횟수별로는 12월 10일에 1회 예취하는 것이 청예수량도 많았고 효율적이었으며, 파성이 IV인 큰알보리와 II인 새장보리가 높은 청예수량을 보였다. 4. 보리 품종별 예취에 따른 TDN수량은 보리에서는 대백보리와 큰알보리가, 그리고, 2회 예취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조기 파종 맥류의 월동전 예취에 의한 출수 및 성숙기는 관행 적파에 비하여 지연되지 않았으며, 2회 예취시 1회 예취보다 1-2일 빨랐다. 6. 종실수량은 월동전 예취시 관행 적파에 비하여 다소 감수되거나 비슷하였으며, 예취 횟수별로는 2회 예취시에 1회 예취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 그리고, 청예. 종실 겸용 보리는 파성이 II-III인 품종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o establish the dual-purpose barley cultivation for forage by clipping before overwintering and grain next year,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clipping times and cultivars haying different winter habits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at paddy field in southern Korea. Barley showed more forage yield by clipping once only on December 10 than that of twice-clipping on November 10 and December 10. Among experimented cultivars, Saegangbori (winter habit II) and Keunalbori (winter habit IV) produced higher forage yield in one time clipping than the others. On the contrary, higher total digestive nutrients(TDN) was gained from twice-cut plants. Barley clipped once or twice headed and matured without serious delay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sown barley. In spite of clipping in November and/or December, barley produced grain yield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Conclusively, it was regarded that cultivars having II-III winter habit were suitable for dual-purpose barley cultivation for forage in winter season and grain harvest next year

저자
  • 김대호(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김은석(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김수경(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손길만(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송근우(경상남도농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