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들깨 수집종의 생육 및 수량관련 형질 비교 KCI 등재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Korean Perilla Collec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7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적으로8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 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2. 천립중은 평균 2.7g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는데, 대부분 중. 소립종이었다. 립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3. 종피색은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4.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 그리고 화방군당삭수와 화방군장은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당삭수와 천립중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5 .회백색 계통 1개 수집종과 3.5g이상의 대립인 경남 함양 종 등 4개 수집종을 교배모본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85 local varieties of perilla at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01. Perilla accessions examined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turity groups, i.e, early, medium, and late maturity group of 19 (23%),57 (67%), and 9 (10%) accessions, respectively. The early and late maturity groups mainly consisted of collections from middle-northern area and southern area, respectively, while the medium group consisted of accessions from all over the country. Average 1,000-seed weight (TSW) was 2.7 g. TSW of the collection from Hamyang was the greatest a 3.9 g, while the TSW of Pyungchang collection was the smallest as 1.7 g, and most of collections produced medium and small seeds. Perilla accessions with greate 1,000-seed weight seemed to be belonged to the late maturity group. Seed coat colors of perilla accessions were dark brown (30%), brown (55%) and gray brown (6%), respectively, Among seed coat colors, brown color consisted of 91%. Stem height, the number of nodes, branches, flower clusters, and capsules per flower cluster, and the length of flower clus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occ, while these characteristic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capsules per flower cluster and 1,000-seed weight. These results allowed us to select 5 perilla collections, containing 1 collection with gray white seed color, and 4 collections over 2.5g 1000 seed weight, as parental lines in the breeding program

저자
  • 남상영(충북농업기술원)
  • 홍성택(충북농업기술원)
  • 김인재(충북농업기술원)
  • 김민자(충북농업기술원)
  • 이철희(충북농업기술원)
  • 김태수(충북농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