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ordein 분석을 통한 보리 국가목록등재품종의 품종식별 KCI 등재

Hordein Fingerprinting for Cultivar Discrimination in National List of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7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보리 국가목록등재 48품종의 hordein 밴드패턴의 다양성을 보고 이러한 hordein 밴드패턴을 D/B화하여 기존(참고)품종으로 관리, 활용하면서 품종구별 및 출원품종과 비교될 대조품종의 선별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 48품종의 hordein SDS-PAGE 결과, 총 22개의 hordein polypeptide밴드를 읽을 수 있었으며 다양한 15종류 의 hordein 밴드패턴을 볼 수 있었다. Hordein 밴드패턴에 따라 48품종을 집괴분석한 결과, 전체 유사도지수 0.54∼1.00 범위에서 3개군으로 분류되었고 주로 보리의 조성에 따라 분류되었다. Hordein polypeptide 밴드패턴 자체가 보리품종의 형태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적거리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므로 현재의 UPOV관점과 마찬가지로 품종보호권 설정에 직접적인 근거를 제공할 순 없다고 판단되었지만 hordein polypeptide 밴드패턴 그 자체를 신품종의 구별성에 대한 보완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A major challenge facing those involved in the testing of new plant varieties for distinctness, uniformity and stability (DUS) is the need to compare new varieties against all those of common knowlege (reference varieties). One possible approach would be to group new (candidate) varieties and reference varieties using descriptions stored in databases prior to further of official test. test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nage a reference variety collection by databasing of hordein profiling. For this purpose, hordein subunits of the 48 National list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were analysed. Total 22 of clear scorable hordein subunits were identified from D-subunit to B-subunit region and fifteen different hordein polypeptide patterns were obtained. Based on hordein subunit band pattern, UPGM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Forty-eight cultivar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and genetic distance of cluster ranging from 0.55 to 1.00. Hordein subunits have a potential of selecting similar varieties compared with candidate varieties by controlling reference variety collection and playing an important complemental role in cultivar distinctness.

저자
  • 소은희(국립종자관리소 재배시험과)
  • 고은별(국립종자관리소 재배시험과)
  • 최수정(국립종자관리소 재배시험과 밀양지)
  • 이종호(국립종자관리소 재배시험과 밀양지)
  • 송인호(국립종자관리소 재배시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