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 품종의 식미관련 미질특성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Grain Quality Properties in Korea-bred Japonica Rice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硏究)는 '70년대(年代) 이후 육성(育成)된 우리나라 자포니카 메벼 품종(品種)들의 식미(食味)와 관련(關聯)된 여러 가지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검토함으로써 양질미(良質未) 육종(育種)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1. 89개 벼 품종(品種)의 식미관련(食味關聯) 주요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중심으로 군집분석(群集分析)을 실시한 결과 크게 동진벼군과 일품벼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일품벼군을 다시 일품벼아군과 추청벼아군으로 세분(細分)해 볼 수 있었다. 이 두 품종군간(品種群間)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나타낸 것은 주로 비스코그램특성으로 일품벼군이 동진벼군에 비해 평균적(平均的)으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2. 열기군별(熟期群別)로 식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비교(比較)해 보면 조생군이 중생군이나 중만생군에 비해 약간 식미치(食味値)가 떨어지면서 단백질함량이 높은 경향이었고, 조(早) 중생군(中生群)이 중만생군(中晩生群)에 비해 최고(最高)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와 강하점도(降下粘度)가 높은 반면 응집(凝集) 및 치반점도(置返粘度)는 약간 낮은 경향이었다. 3. 육성(育成) 년대별(年代別)로 보면 년대(年代) 품종(品種)에 비해 2000년대(年代)에 육성(育成)된 품종(品種)들이 최고(最高) 최저(最低) 최저점도(最低粘度) 및 응집점도(凝集粘度)가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4. 토요식미치와 밀접한 상관(相關)을 보인 미질특성(米質特性)은 단백질 및 아밀로스함량과 최저점도(最低粘度) 등으로 단백질함량 및 최저점도(最低粘度)가 낮을수록 아밀로스함량이 높을수록 토요식미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단백질함량과 아밀로스함량간에는 부(負)의 상관성(相關性)을 나타내었다. 5. 식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이용한 토요식미치 추정(推定) 중회귀식(重回歸式)에 채택(採擇)된 주요 특성은 단백질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였으며 결정계수(決定係數)로 보아 약 49%의 적중율(的中率)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maj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palatability of cooked rice. 89 Korea-bred japonica rice cultivars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at is, Dongjinbyeo and Ilpumbyeo groups. The Ilpumbyeo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Ilpumbyeo and Chucheongbyeo groups. The two major ric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cogram properties of rice flour. Ilpumbyeo group revealed slightly higher estimates of viscogram traits as compared with Dongiinbyeo group in average. Early-maturing rice group showed slighly lower estimates of taste meter and higher protein content compared with medium or medium late maturing ones. Also, early and medium-maturing groups exhibited slightly higher estimates of peak, hot and breakdown viscosities but lower estimates of consistenency and setback viscosities compared with medium-late-maturing one. The rice cultivars developed in 2000's revealed slightly higher estimates of peak, hot, cool and consistency viscosities compared with those in 1980. The grain quality properti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simates of Toyo taste meter wer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and hot viscosity. The lower protein content and hot viscosity and the higher amylose content, the higher estimates of the taster meter. The protein content was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The important quality components contributed to multiple regression formula for estimating the Toyo taster meter values were protein content, alkali digestion value, and hot viscosity. The fittness of this formula was about 49% along with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저자
  • 이영태(작물과학원)
  • 김기종(작물과학원)
  • 김연규(작물과학원)
  • 황흥구(작물과학원)
  • 최해춘(작물과학원)
  • 김광호(건국대학교)
  • 최용환(작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