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피복을 이용, 보리, 밀 품종의 봄철 저온장해의 대규모 유도와 품종간 차이로 선발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포장의 비닐 피복을 이용한 저온처리시험을 실시하였다. 저온에 대해 보리, 밀 모두 가장 민감한 생육시기는 수잉기였고 영화 분화기 > 화기발육기 순이었다. 같은 생육정도라도 맥종간 장해정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보리, 밀 각각 고사이삭비율 28%, 59%, 고사개체비율 10%, 44%, 퇴화이삭비율 18%, 44%였다. 저온장해 저항성 품종은 없었으나 품종간 장해 정도는 차이를 보여 보리에서는 찰보리가, 밀에서는 그루밀, 조광밀 등이 안정적인 수량을 보였다. 저온스트레스는 수량구성요소중 주로 수수와 일수립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품종중 수원 259호와 강보리 수량이 수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으나 일수립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밀은 대부분의 품종들이 세 시기 모두 수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고 생육이 진전된 시기에는 일수립수와도 상관을 보였다. 저온장해에 대한 유전자형을 구분하기 위해 포장에서 비닐피복이라는 간단한 처리에 의해 저온저항성 품종이나 계통의 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시험기간의 2~4 월의 저온내습일수와 온도하강 정도에 변이가 있어 최소 2년 정도의 검정기간이 필요하다.
To understand the spring freezing injury symptoms during sensitive growth stage and yield loss of barley and wheat, field tests were done by using vinyl mulching and natural cold weather. The growth stage sensitive were booting,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flower organ development stages for both crops. However, barley and wheat differed in their growth responses, in that barley was less affected than wheat. For instance, barley recorded 28 percent dead ears, 10 percent dead plants and 18 percent ear degenerations while wheat recorded higher values of 59 percent, 44 percent and 44 percent,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recorded froze-resistant varieties in both barley and wheat, some showed tolerance as their yields were not affected by freezing stress. The 'Chalbori' cultivars of barley and 'Geurumil' and 'Chokwang' cultivars of wheat recorded steady yields. The yield components of barley and wheat that were greatly affected by freezing stress were the number of spike per square and the number of grain per spike. The major cause of yield loss in Suwon 259 and Kangbori was the number of spike per square but not the number of grain per spike. The study showed, however, that both the number of spike per square and the number of grain per spike were vulnerable to freezing and that which contribute much to yield loss of barley and wh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