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에 따른 쌀 단백질함량의 수비 질소 반응 KCI 등재

Response of Grain Protein Content to Nitrogen Topdress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under Different Growth and Plant Nitrogen Status of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쌀의 품질과 식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질소시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비 및 분얼비 시용량을 달리하여 수비 시기인 유수분화기에 벼의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를 다양하게 조성한 상태에서 수비 시용량을 달리하였을 때의 백미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고품질 쌀 생산에 맞는 질소 시비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6~9% 로서 기비+분얼비 및 수비 시용량비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는데, 기비+분얼비 시용량이 20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1.8 kgN/10a 이하일 경우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7% 이하였으며. 기비+분얼비 보다는 수비에 의한 단백질 함량 증가폭이 더 컸다. 2. 수확기 지상부 질소함량과 백미의 질소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직선회귀 관계를 보였는데, 수확기 총 질소흡수량 중에서 58.3%와 46.5%가 각각 이삭과 백미로 전이되었고, 연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유수형성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유수분화기 이후 수확기까지의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2차곡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후자의 영향이 컸다. 유수분화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이 8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이후의 질소집적량이 3 kgN/10a미만일 경우에는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7% 미만이었다. 4. 수확기까지 총 질소 집적량이 같더라도 단위면적 당 영화수에 영향이 큰 유수분화기까지의 질소 집적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그리고 등숙기 기상환경이 좋아 sink의 충진에 유리한 해에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III 균주는 최고분얼기때의 반응과 유사하였다. xa5를 갖는 IRBB5, IRBB105 및 IRBB205 계통은 모든 검정균주에 대해 저항성으로 반응하였다. 4. 2개 이상의 진성 저항성 유전자를 갖는 계통들은 벼 생육시기 전 과정에서 벼흰잎마름병균에 대해 저항성 정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저항성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Xa4, xa5, Xa7 등의 유전자의 집적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chain E 발현이 감소하였다.floor pen(가로: 2.0 m, 세로: 2.4 m)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2는 1일령 육계(Ross(R)종) 240수(암 수 각각 1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암 수 동수) 씩을 케이지(가로: 35.5 cm, 세로: 45 cm, 높이: 55 cm)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각각 35일간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 생산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herbs M구가 가장 높았다. 시험 2에서 4~5 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시험 1의 RBC와 적혈구 용적 (HCT 또는 PCV), Hb는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2의 BA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혈청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장내 미생물 균총과 영양소 이용율은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

As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generally used as a benchmark for rice eating quality, is greatly affected by N fertilization and nutrition status of rice plant, understanding its response to nitrogen rate and plant nitrogen status at different growth stage is important for recommending N fertilizer management for high quality rice production. The responses of milled-rice protein content were compared and quantified under various combinations of basal+tillering and panicle N application levels in 2001 and 2002.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ranged from 6 to 9%, increasing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basal+tillering and panicle N rates. However, milled rice protein content was raised much greater by panicle N than by basal+tillering N fertilization. Even though basal+tillering N increased up to 20 kg/ha,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observed less than 7% in case that panicle N was applied below 1.8 kg/10a.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itrogen accumulated until harvest was partitioned with almost constant rates of 58.3% and 46.5% to panicle and milled rice, respectively. The partitioning rates was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years.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showed linear and quadratic responses to the shoot N accumulation until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ant shoot nitrogen accumulation from PIS to harvest, respectively. The increment of milled-rice protein content per unit N increase was much greater in shoot N accumulation from PIS to harvest than in that until PIS. Regardless of shoot N accumulation until PIS upto 8 kg/10a,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lower than 7% and ranged from 6.5 to 7.5% in case that shoot N accumulation from PIS to harvest was below 3.0 kg/10a and below 6.0 kg/10a respectively. It would be concluded that even under the same N accumulation until harvest milled rice protein content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 fertilizer management and weather condition especially during ripening, providing rooms for controlling protein content by N fertilizer management without damage to grain yield.

저자
  • 김민호(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이규종(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이변우(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