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종실 및 생육형질 연관 분자표지 탐색 KCI 등재

QTL Analysis of Seed and Growth Traits using RIL Population in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신팔달콩2호와 GC83006를 교잡하여 총 118개의 F7 계통을 육성하였다. 127개의 분자마커를 사용하여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종실 및 생육특성에 대한 QTLs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0립중, 경장, 엽면적 그리고 개화까지 일수는 정규분포를 보였다. 100립중을 제외한 3개의 형질에서 양친의 값을 벗어나는 초월변이 계통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개화까지의 일수는 개화기가 지연되는 쪽으로 초월변이 계통이 다수 관찰되었다. 2. 100립중, 경장, 엽면적 그리고 개차까지 일수에 대한 QTL분석 결과, 전체 7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100립중에 관여하는 3개의 QTL은 전체변이의 10.1%~12.5% 를 설명하였고, 경장은 전체변이의 22%를 설명하는 1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엽면적은 전체 변이의 10% 및 8.6%를 설명하는 2개의 QTL이 탐지되었으며 개화기 일수는 전체 변이의 41.0%를 설명하는 1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3. 신팔달콩2호와 GC83006의 모용은 각각 회색과 갈색이었으며 모용색은 1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모용색은 연관군 C2에 위치하는 Satt134 마커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제색은 신팔달콩2호와 GC83006이 각각 흑색과 황색이었으며 후대 중에는 갈색의 배꼽을 갖고 있는 계통도 발견되었다. 종피색은 신팔달콩 2호와 GC83006이 각각 황색과 녹색을 보였으며 후대에서 황색과 녹색 계통이 1 : 1의 분리비를 보여 종피색에는 하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유전자는 연관군 D1a의 마커 Satt077과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An RIL population from a Shinpaldalkong2/GC83006 cross was employ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ssociated with agronomic traits in soybean. The genetic map consisted of 127 loci which covered about 3,000cM and were assigned into 20 linkage groups. Phenotypic data were collected for the following traits; plant height, leaf area, flowering time, pubescence color, seed coat color and hilum color in 2005. Seed weight was evaluated using seeds collected in 2003 to 2005 at Suwon and in 2005 at Pyeongchang and Miryang sites. Three QTLs were associated with 100-seed weight in the combined analysis across three years. Among the three QTLs related to seed weight, all GC83006 alleles on LG O (R2~;=~;12.5 ), LG A1 (R2~;=~;10.1 ) and LG C2 (R2~;=~;11.5 ) increased the seed weight. A QTL conditioning plant height was linked to markers including Satt134 (LG C2, R2~;=~;25.4 ), and the GC83006 allele increased plant height at this QTL locus. For two QTLs related to leaf area, 1aM on LG M (R2~;=~;10.0 ) and laL on LG L (R2~;=~;8.6 ), the Shinpaldalkong2 alleles had positive effect to increase the leaf area. Satt134 on LG C2 (R2~;=~;41.0 ) was associated with QTL for days to flowering. Satt134 (LG C2) showed a linkage to a gene for pubescence color. Satt363 (LG C2) and Satt354 (LG I) were linked to the hilum color gene, and Sat077 (LG D1a) was linked to the seed coat color. The QTL conditioning plant height was in the similar genomic location as the QTLs for days to flowering in this population, indicating pleiotropic effect of one gene or the tight linkage of several genes. These linked markers would be useful in marker assisted selection for these traits in a soybean breeding program.

저자
  • 김정순(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환경생명공학과)
  • 송미희(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이장용(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환경생명공학과)
  • 안상낙(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구자환(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환경생명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