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KCI 등재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on Millet Germpla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기장 137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농업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137자원의 수형은 편수형, 산수형, 편밀수형(편수형과 밀수형의 중간형태) 및 산편수형(산수형 과 편수형의 중간 형태)의 4가지 수형으로 구분되었다. 수형별 빈도를 보면 편수형이 91자원으로 66.4%를 차지하였다. 2. 종피색은 황백색, 황갈색, 흑갈색, 황색 및 갈색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종피색별 빈도를 보면 황백색 이 54자원 39.4%로 가장 많았으며, 종실형태는 방추형이 62.8%, 단방 추형이 37.2%이었다. 3. 출수소요일은 68~85 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3.7일이었다. 빈도별 분포는 70~75 일이 46.7%로 가장 많았다. 생육기간은 109~124 일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112일이었다. 생 육기간의 빈도를 보면 111~115 일이 83자원으로 60.6%로 가장 많았다. 4. 간장의 분포는 181~190cm 가 65자원으로 47.4%로 가장 많았으며, 160 cm 이하가 2.9%로 가장 적었다. 수장은 156~201cm 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181.4 cm이었으며, 빈도별 분포는 31~35cm 가 74자원으로 54.0%로 가장 많았다. 5. 1수립수의 범위는 432~2,665 개로 변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429.5개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200~1,400 개가 20.4%로 가장 많았으며, 1,000개 이하 및 2,000개 이상이 각각 13.1%, 8.6%를 차지 하였다. 6. 등숙률은 10% 이하에서 90% 이상까지 변이의 폭이 매우 컷다. 1000립중은 범위가 2.2~6.0g 으로 변 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4.69 g이었다. 7. 간장은 수장 및 출수소요일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생육기간은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등숙률도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등숙률이 높은 자 원일수록 1000립중이 높았다.

Crop characteristics of 137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resources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Spike types of 137 plant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4 types of oblate, spreading, oblate-compact (intermediary type between oblate and compact) and oblate-spreading (intermediary type between oblate and compact) type, of which oblate spike typ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6.4% (91 plant resources) of 137 germplasm. Seed color was classified as 5 colors of dark brown, yellow, brown, yellowish brown, and yellowish white, of which yellowish whit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6.4% (54 plant resources) among them. Seed type was classified as 2 types of pyramid shape and short pyramid shape, which showed 62.8% and 37.2% respectively.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8 to 85 days with 73.7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0 to 75 days, which occupied 46.7% (64 plant resources) of 137 germplasm.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109 to 124 days with 112.0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60.6%) of it was the group from 111 to 115 days, while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6.6% below 110 days and 5.1% over 120 days among 137 germplasm. Group from 181 cm to 190 cm of culm lengt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47.4%, whereas below 160 cm was the lowest occupancy of 2.9%. Spike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181 to 190 cm with 181.4 cm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31 to 35 cm with the proportion of 54.0%.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the range from 432 to 2,665 grains with 1,429.5 grains in the average and group from 1,200 to 1,400 grains per spike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20.4%.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13.1% below 1,000 grains and 8.6% over 2,000 grains per spike among 137 germplasm.

저자
  • 윤성탁(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許震宇(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성민(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김창영(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