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전자변형 벼로부터 일어나는 화분비산의 시공간적 특성 KCI 등재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Pollen Flow of Living Modified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7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에서 실행한 LM 벼의 화분비산 연구는 non-LM벼와 잡초성 벼의 의도치 않은 교잡은 경작지의 생태계에 문제를 야기할 기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벼의 이격거리 설정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벼의 개화기간의 개화시간(10:00~14:00) 의 주풍은 남풍이었으며, 시간대별 풍속은 0.94~1.77 m/s이었다. 2. 개화기는 LM벼와 Wild벼가 일치하는 기간은 8일이였으며, LM벼와 Wild벼의 최성기는 4일의 차이가 있다. 3. LM벼의 화분이 non-LM벼보다 유의하게 작게 조사되었다. 4. 화분채집량은 위가 노출된 슬라이드 글라스가 위가 덮인 슬라이드 글래스 보다 많았으며 LM벼가 Wild벼보다 비산량이 많았다. 5. 벼 화분의 비산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대부분 이루어졌다. 6. 거리에 따른 화분비산량은 1 m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 m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전형적인 지수함수를 나타냈으며, 3 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Pollen flow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in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nsgenic crops, because pollen can act as a vehicle to disseminate transferred alien genes. Pollen flow pattern of a cultivated rice variety and Living modified (LM) rice was studied at diurnal and distance changes under field. We measured airborne pollen density at the distances of -1, 0.5, 0, 1, 2, 3, 4, 5, 7, 9, 11 and 13 m from rice cultivation and recorded the direction and speed of wind using weather station in the conventional rice paddy field during the flowering period of rice. Diurnal changes in pollen density were observed as a peak between 10:00 to 13:00 hr. The density of airborne rice pollen geometric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istance from pollen sourc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arry out a detailed investigation of pollen flow of a particular species, where ecological risk assessment requires an accurate estimation of pollen flow including both distance and intensity of pollen dispersal. The rice pollen flow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particularly by wind direction and speed. The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local wind conditions at flowering time therefore appears to be of primary importance for setting up suitable isolation distance from transgenic rice in the field.

저자
  • 조강현(인하대학교)
  • 안주희(인하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