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리와 완두의 혼파재배에서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의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Feed Value of Barley and Pea by Different Seeding Rates and Cutting Dates in Mixed Sowing Cul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인 충청지역에서 사료작물의 새로운 작부체계로 보리와 완두를 혼파재배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보리와 완두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5월 16일에 예취할 때 가장 많았다. 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 단백질은 4월 25일 예취시에는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으나, 5월 2일 예취 이후부터는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보리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RFV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DN함량은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예취시기별로는 5월 9일 예취시까지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그 이후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와 Mg함량은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Ca은 증가하였고, K은 감소하였다. 예취시기별로는 P, Ca 및 K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나. Mg은 5월 9일 예취시기까지는 별 변동이 없었고, 그 이후 예취시 부터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에너지함량에서 ENE, NEM 및 NEG는 혼파비율과 예취시기 간에 유의성이 있어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다. 건물중에 각 성분의 함량을 적한 수량에서 보면 단백질, P, Ca, K 및 Mg 등의 무기물 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75 : 25% 파종구에서, ENE, NEL, NEM 및 NEG 등의 에너지 수량과 TDN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예취시기별로는 TDN 수량, 모든 무기물 및 에너지수량은 5월 16일에 예취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find out feed value of barley plus pea mixture with different ratio and cutting date to got basic information when introduced the mixture as new cropping system in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r. Dry matter (DM) yield increased as barley seeding rate was higher and showed the highest yield in the plots with barley 85% plus 15% ratio when harvested on May 16. There was no different in crude protein, available protein and digestible protein cutting on April 25 in every mixture, but the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pea mixture rate after May 2. The content o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crease coincided with higher barley rate and late cutting dates. But relative feed value (RFV) resulted in opposite trend. Higher pea ratio influenced increased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erients (TDN), but decreased before May 9 cutting and increased after the next cutting regim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P and Mg between sowing rate, but Ca increased at higher pea ratio and P, Ca, K decreased in all plots as harvests were delayed. The content of estimated net energy (ENE), net energy maintenance (NEM) and net energy gain (NE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pea rate and earlier cutting. But net energy lactation (NEL)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eding rates and cutting dates. In conclusion, mineral yield such as P, Ca, K and Mg showed the highest yield at barley plus pea ratio of 75 : 25 and energy yield of ENE, NEL, NEM, NEG and TDN was the highest at 85 to 15 mixture plots and DM yield, TDN yield, mineral yield such as P, Ca, K and Mg and energy yield of ENE, NEL, NEM, NEG were the highest on each treatment cutting on May 16.

저자
  • 오태석(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김창호(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이효원(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