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습에 따른 콩 지하부 생육반응 KCI 등재

Responses of Root Growth Characters to Waterlogging in Soybean[Glycine max (L.) Merri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1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기상여건상 상습적인 과습장해에 대비하여 내습성 콩 품종의 조기육성 및 습해 경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뿌리건물중은 풍산나물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59~67%로 과습에 의한 감소정도가 가장 적었고, 장엽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47~49%로 감소정도가 가장 컸다. 본엽4엽기(V5 stage) 과습처리후 21일간 뿌리건물중 일당증가량은 풍산나물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47~56%로 회복력이 가장 컸고, 장엽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26~27%로 회복력이 가장 적었다. 2. 근류건물중은 풍산나물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83~91%로 과습에 의한 감소가 가장 적었으나, 명주나물콩은 과습구가 대조구의 48~66%로 감소정도가 가장 컸다. 3. 지상부 건물중에 대한 지하부 건물중의 비율(R/S)은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는데, 장엽콩은 과습처리 직후부터 과습처리 종료 11일 후 까지 대조구가 과습구에 비해 R/S가 0.04~0.06 정도 더 높았으며, 풍산나물콩은 과습처리 종료 4일 후 까지는 대조구가 과습구에 비해 R/S가 0.04 정도 더 높았으나, 과습처리 종료 11일 후에는 대조구는 R/S가 0.37였으나 과습구는 R/S가 0.39으로서, 대조구에 비해 과습구의 R/S가 더 높았다. 이는 과습처리 종료 후 뿌리의 회복속도가 빠르고, 부정근(adventitious root)의 발생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4. 과습처리 종료 11일 후 전체 뿌리 생체중에 대한 부정근의 생체중 비율은 명주나물콩이 14%로 가장 낮았고, 풍산나물콩이 38%로 가장 높아 생육후기 양 수분 흡수능력증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Stress from excess water is one of the most harmful limiting factor in soybean yield during the wet season under the climate conditions. Soybean is very sensitive to excess water compare to other crop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growth responses for establishing a screening system related to waterlogging tolerance in soybean from 2003 to 2004. The root dry weight accumulation rate of per day for 21 days after waterlogging at V5 stage was the highest in Pungsannamulkong (47~56% of control) and was the lowest in Jangyeobkong (26~27% of control). The nodules dry weight recovery rate was the highest in Pungsannamulkong (83~91% of control), while the lowest in Myungjunamulkong (48~66% of control). After waterlogging, recovery rate of roots was high, which increased the root/shoot ratio of Pungsannamulkong, which also produced significantly more adventitious roots than in Jangyeobkong. The percentage of adventitious roots fresh weight to the total roots fresh weight was the lowest in Myungjunamulkong (14%), while the highest in Pungsannamulkong (38%). This results implies that the water and nutrients absorbing ability of Pungsannamulkong is more higher than that of Myungjunamulkong during late growth period.

저자
  • 김정곤(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윤홍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춘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정건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권영업(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이재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