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누룩 및 기장 첨가량을 달리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KCI 등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Made from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t Different Addition Rates with Two Kinds of Nuru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1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기장의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기장을 이용한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100% 찹쌀만으로 발효시킨 시료의 경우 SH업체와 BS업체 누룩에서 각각 12.36 및 12.53%로 나타났으며, 기장을 첨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SH업체 및 BS업체 누룩 모두 12.87~13.21%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SH업체와 BS업체 누룩 대조구에서 각각 21.6 및 22.4 ˚Bx 로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대조구에서 각각 3.74 및 3.40이었고 총산도는 각각 1.40 및 1.51%로 나타났으며, 기장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을 얻었다. 탁도는 대조구에서 각각 0.441 및 0.149로서 BS업체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가 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장첨가량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탁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는 SH업체 누룩의 경우 기장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 α 및 b-value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S업체 누룩은 L- 및 b-value는 감소하고 α-valu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차(δEab )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주의 주된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주를 이루었고 이중 lact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와 총산도와 마찬가지로 뚜렷한 경향을 찾기 어려웠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대조구에서 각각 7.580 및 7.116%로 나타났고 기장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SH업체 누룩을 이용하여 기장을 30% 첨가한 발효주가 가장 양호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proso millet and nuruk at different mixing rate. The alcohol contents of the fermented wine ranged from 12.36 to 13.21%. Two kinds of nuruk, SH and BS nuruks were used. The brix degrees of proso millet wine fermented by SH and BS nuruks were 21.6 and 22.4 ~circBx , respectively. The pH, total acidity, and turbidity the wines fermented by SH and BS nuruks were 3.74 and 3.40, 1.40 and 1.51%, and 0.441 and 0.149,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the addition amount of proso millet, brix degree, pH, turbidity L-value decreased, and total acidity and avalue increased. Total color difference (δEab ) parameter of the wine fermented by SH nuruk were 4.33, 6.63 and 26.13, and by BS nuruk were 4.08, 5.29 and 10.59 in 30, 70 and 100% addition rates of proso millet. With increasing the addition amount of proso millet, glucose content decreased. The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predominantly detected in the fermented wine. Finally, based on sensory evaluations, the wine fermented by SH nuruk showed the best overall quality at 30% addition rate of proso millet.

저자
  • 우관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재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고지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강종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병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남민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류인수((사단법인)한국가양주협회)
  • 서명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