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Vetch류 품종 선발 KCI 등재

Selection of Promising Vetch Cultivars on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5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벳치류를 나주지역과 천안지방에서 재배하여 수량 및 생육특성 조사를 통하여 월동성이 높은 품종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6까지 축산과학원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주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0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21.7%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induced vetch cultivars at paddy field of Cheona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nd Naju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from 2004 to 20

저자
  • 김원호(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서성(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김맹중(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신재순(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전병수(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정민웅(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안병석(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윤봉기(전남 농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