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Wasteform Properties of Spent Salt Treated with Zeolite and SAP KCI 등재 SCOPUS

염화염을 제올라이트와 SAP로 처리한 고화체의 특성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687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방사성폐기물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해환원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용융염에서 LiCl을 재활용하기 위해 핵종제거 물질로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폐제올라이트와 여기에 흡착된 유리염을 고감용으로 고화하는 경우의 고화체특성을 살폈다. 주종 핵종인 Cs의 침출속도는 붕규산유리보다는 석회유리로 고화한 경우, SAP과의 반응비와 유리의 첨가량을 변화시켜도 그 값은 1/10 정도로 낮았으며 그 범위는 0.1에서 0.01g/m2d이었다. 한편으로 Sr의 침출속도는 유리의 종류와 첨가량변화에 크게 지배를 받지 않으며 Cs보다 훨씬 낮은 0.001에서 0.0001g/m2d이었다. 그리고 압축강도는 유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열팽창율은 어떤 온도에서 도 유리를 30% 함유한 것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한편으로 이 고화체들의 용융온도는 약 1,100℃로서 유리의 함량이 증가하면 약간씩 높아졌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wasteform containing a spent zeolite used as a separating agent of FPs for recycling LiCl waste which would be generated from pyrochemical process of spent PWR fuel. In this study, a conventional borosilicate and Ca-rich glass were used as a consolidating agent for spent zeolite and it's mixing ratio was changed in the range, 25 35wt%. The leach rates of Cs and Sr had about 0.1 0.01g/m2day and 0.001~ 0.0001g/m2day, respectively. The leach resistance of Cs increased with amount of SAP and it showed about 10 times higher in the Ca-rich glass wasteform than in the conventional borosilciate glass wasteform. The compressive strength of wasteform was affected with the amount of glass. Thermal expansion rate of containing 30wt% glass h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Also, the melting temperature was little changed in given mixing ratio of glass.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실험    가. 염함유제올라이트(SLZ)의 제조    나. 유리염과 SAP과의 반응    다. 유리매질에 의한 고화체 제조    라. 침출실험    마. 열팽창    바. 열량변화   III. 결과    가. 고화체의 침출특성    나. 고화체의 기계적 특성    다. 고화체의 열적 특성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Hwan-young Kim(Korea Atomic Energy Institute) | 김환영 Corresponding Author.
  • Hwan-Seo Park(Korea Atomic Energy Institute) | 박환서
  • Kweon-Ho Kang(Korea Atomic Energy Institute) | 강권호
  • Byung-gil Ahn(Korea Atomic Energy Institute) | 안병길
  • In-Tae Kim(Korea Atomic Energy Institute) | 김인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