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mpirical model to estimat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ranite with various water contents KCI 등재 SCOPUS

다양한 함수비를 가진 화강암의 열전도도 추정을 위한 실험적 모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687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방사성폐기물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초록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설계 및 장기 성능평가를 위한 입력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처분연구시설 부지에서 실시된 경사시추에서 얻은 암석 코어를 이용하여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열전도도에 미치는 함수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함수비에서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화강암의 광물 조성, 결정구조 및 이방성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비교적 측정이 용이한 유효공극률과 함수비를 이용하여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실험적 관계식이 제안되었다. 이 관계식은 지하처분연구시설 부지에서 채취한 유효공극률 2.7% 이하인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10% 오차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

To obtain the input data for the design and long-term performance assessment of a high-level waste repository,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several granite rocks which were taken from the rock cores from the declined borehole were measured.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nite were measur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water cont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ater content on the thermal conductivity. A simple empirical correlation was proposed to predic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ranite as a function of effective porosity and water content which can be measured with relative ease while neglecting the possible effects of mineralogy, structure and anisotropy. The correlation could predic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ranite with the effective porosity below 2.7% from the KURT site with an estimated error below 10%.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실험    가. 화강암 시료    나. 열전도도 측정   III. 결과 및 토의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Won-Jin Cho(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조원진 Corresponding Author
  • Sangki Kwon(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권상기
  • Jae-Owan Lee(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이재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