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말의 발정동기화 동안 난소 및 혈중 프로제스테론 농도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91610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velopmental Biotechnology)
한국동물번식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Reproduction)
초록

국내의 말 산업 확대와 승마인구 저변확대에 따른 승용말 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승용말은 경주 퇴역마 또는 고가의 수입말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 서 우수하고 경제적인 승용말의 국내 생산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 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의 발정동기화 처리법에 따른 난소와 혈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공란말 및 수란말의 발정동기화는 CIDR-Plus, 경구용 프로제 스테론(Regumate) 및 PGF2a를 이용하였다. CIDR-Plus 및 Regumate는 투여 시작부터 3 일간격으로 채혈 및 초음파 검사를 하였고, PGF2a는 투여전 및 투여 후 3일간격으로 채 혈과 호름파 검사를 하였다. CIDR-Plus 삽입 전 프로제스테론 농도가 평균 1.02 ng/ml, 3 일, 6일 및 9일째 각각 1.10 ng/ml, 4.21 ng/ml 및 8.90 ng/ml이었고, 9일째 PGF2a를 투 여하여 배란유도한 후 3일째에 0.04 ng.ml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Regumate는 투여 전, 투여 후 3일, 6일 9일 및 PGF2a 투여 후 3일째에 각각 평균 0.04 ng/ml. 0.03 ng/ ml, 1.59 ng/ml, 8/84 ng/ml 및 0.93 ng/ml이었다. 발정 증상이 없는 번식말에 PGF2a 투 여전 혈중 프로제스테론 농도는 평균 2.45 ng/ml였으며, PGF2a 투여로 평균 0.03 ng/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CIDR-plus는 발정 증상이 대체로 미약하였고, 기구 삽입에 따른 질 의 발적과 염증소견이 관찰되었다. Regumate는 급여 후 황체의 크기가 6일째에 평균 3.2 cm로 성장하였고, PGF2a 투여 후 황체 소실 및 난포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하여 말의 발정동기화는 경구용 프로제스테론이 기구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판 단된다.

저자
  • 박용수(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