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문산의 포유류상 KCI 등재

Mammal Fauna in Mt. Unmu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04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일대의 포유류상을 밝히기 위해 2007년 1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6목 11과 24종의 포유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우점종으로는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다람쥐 Tamias sibiricus, 두더지 Mogera wogura,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이었다. 특히, 천연기념물(NM)과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ES)인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NM #328, ES II급), 수달(Lutra lutra; NM #330, ES I급),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ES II급), 담비 (Martes flavigula; ES II급) 등 법적보호종 4종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포유류 종과 법적보호종의 서식에 대한 지리적 분포를 확인한 이 결과는 조사지역이 포유류의 서식에 필요한 자연생태계의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임을 반영한다. 반면, 관리동물 종으로 지정된 들고양이가 다수 관찰되었다. 운문산 자연 생태계의 건전한 유지와 생태계 위해 동물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mammal fauna in the sabbatical area of Mt. Unmun, Kyungsangbuk-do from December, 2007 to September, 2009. A total of 24 species belonging to 11 Families, 6 Orders, were identified in the survey area. Dominant species were as follows: Chinese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Sibe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Korean mole (Mogera wogura), and East Asian field mouse (Apodemus peninsulae). Especially, four Legal Protection Species specified as National Monument (NM) and Endangered Species (ES) found in this survey were as follows: Flying squirrel (Petromys volans; NM #328 and ES level II), Eurasian otter (Lutra lutra; NM #330 and ES level I),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S level II) and Marten (Martes flavigula; ES level II). These result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arious mammal species and Legal Protection Species indicate that this area is a valuable ecosystem for native mammal species. On the other hand, many feral cats were also found and specified as a management spe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urther long-term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plan are needed to protect against harmful species and maintain the native ecosystem of Mt. Unmun.

저자
  • 김태욱(제주대학교 과학교육과) | Tae-Wook Kim
  • 김병수(신성여자고등학교) | Byoung-Su Kim
  • 장민호(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Min-Ho Chang
  • 박수곤(제주대학교 과학교육과) | Su-Gon Park
  • 한상현(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Sang-Hyun Han
  • 오홍식(제주대학교 과학교육과) | Hong-Shik O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