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두대간 권역의 전통 산림 제례문화에 관한 고찰 KCI 등재

Review on the Traditional Sacrifice Cultures Related to Forests within the Baekdoo-daegans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6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관리․보전과 관련된 각종 계획과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문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백두대간 권역에 속해 있는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통적인 산림제례를 발굴하여 유형별로 정리한것이다. 백두대간 권역의 산간지방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서낭제․당산제․별신굿, 장승제, 기우제 등이 나무나 산을 숭배하는제례의식으로 시행되어 왔다. 지금은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는 산림제례행사는 거의 볼 수 없고, 지자체 차원에서 행해지는산림제례행사들이 있다. 현재 많은 고장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간에서 시행되는 사례들도 대부분 간소화된 형태로 시행되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종교적 상황의 변화와 농산촌 인구의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다양한산림제례문화를 전통적인 생활문화, 생활의 지혜, 공동체활동의 매개체 등으로 인식하여 재조명하고 계승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iming at helping implement various policies and undertakings regarding the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through discovering and recognizing its cultural value, this study examined and organized the rite cultures handed down or still remaining in areas in the Baekdu-daegan region. Categorizing them into a few rituals such as rituals for mountain gods, Dangsan rituals, rituals of replacing old totem poles with new ones, rituals for rain and other modern sacrificial rituals, I looked at the fundamental concepts, subtypes and procedures of each type of rituals and presented typical examples of each type in the areas. There are few ritual events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today and even in cases where they are held by the local governments or by private groups with a village as a unit, most are done in simpler forms due to the religious situation and the population decrease in rural areas. It is suggested that solutions should be sought to recognize the rite culture in forest regions as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wisdom of life, and medium of community activities, instead of sticking to its religious meaning.

저자
  • 박종민(전북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ark, Chong M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