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업생산경관평가를 위한 심리적 특성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Agricultural Landscape Assess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6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종래 농촌개발전략은 농업 및 농민에게 중점을 두고 도시의 편리성을 지향하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농업에 의한 농촌발전의 한계성이 드러나고 도시를 지향하는 농촌의 정주정책은 농촌경관의 획일화를 초래함에 따라 농촌다움이 상실되는 문제점을야기하여 왔다. 이로인해, 농촌다움의 상실은 농촌 자체 매력의 상실을 가져왔으며, 이는 소비자인 도시민으로부터 외면당하는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농업과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기능과 다면적인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있으며 이의 활용을 통한 농촌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경관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활용가능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농업생산경관의심리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농촌계획에 있어 활용가능한 심리적 인자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후의 농촌계획 및 경관영향평가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suitab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landscape planning and assessment. The rural amenity resources in the landscape plan is being recognized as a valuable agricultural production spac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andscapes and landscape elements to identify the visual impact of landscape element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ion attention. and, on this basis the formation of future rural amenity landscape planning topics as role and the role of agricultural production space is required for agricultural production planning officer for the purpose of basic materials are provided. To fi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agricultural production space should be based on harmony with surrounding landscape and human needs.

저자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전공) | Suh, Joo Hwan Corresponding author
  • 승지현(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디자인전공) | Seung, Ji 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