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바람직한 치유의 숲 조성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Healing Fo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7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국 ․ 내외의 산림치유와 직 ․ 간접적으로 관련된 문헌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접방법을 통해 바람직한 산림치유 조성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림은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산림의 기능을 이용하여 많은 치유의 숲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이용을 통해그 효과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산림치유를 위한 공간은 새롭게 조성하는 것도 있으나 기존에 해당 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산림, 인력 등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산림자원 뿐 아니라 산림치유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주변 산촌마을진흥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치유의 숲 조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산촌마을의 진흥의 수단으로 활용한다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ctivation methods of healing forest through the literature related to domestic and foreign healing forest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est experiences have been impacted on humans' psychological, mental and physical health. Using forest health mechanism, many forest programs have been running. Forest heath programs have great diversities in their format, participants, and affects from participations. The space of healing forest is to strong the side of application of enlarge and develop the possesses in existing resources than the concept of construction. Healing forest is not resources of forest but it makes use of diversiform contents. Such they have given consideration to relationship of surrounding villages for securing many kinds of contents. Healing forest have made use of revitalization of the means of regional economy and promotion of mountain villages.

저자
  • 허준(동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Heo, Jun
  • 박태희(동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Park, Tae Hi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