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작권집중관리단체에 관한 연구 -국가의 제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Organizations -With a Focus on the Korean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7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저작권집중관리단체는 저작권자를 대신하여 이용자와 저작물 이용허락계약을 체결하고, 저작권 사용료를 징수∙분배한다. 그러므로 저작권자를 보호하고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저작권집중관리단체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현재 저작권법 및 각 저작권관리단체의 약관 등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저작권집중관리 제도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으로 독점의 폐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관리감독소홀, 디지털화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저작권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저작권집중관리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음악저작권, 특히 한국음악저작권협회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가장 오래되고 규모도 커서 저작권관리단체를 대표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최근, 저작권관리사업법안의 제정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아직 국회에 제출되지는 않았다. 이 법안은 저작권집중관리단체의 설립 등에 대해 허가제를 취하고 있으며, 확대된 집중관리단체의 신설, 통합 DB 구축,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저작권 관리사의 신설 등을 규정하고 있다. 경쟁 체제의 도입을 위해 저작권관리단체를 복수화하고, 영리법인인 저작권집중관리단체를 허용하며, 분리신탁을 도입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관리감독권을 강화하는 내용의 저작권집중관리제도에 대한 특별법의 제정에 동의한다. 하지만 현재 나와 있는 저작권관리사업법 시안에 대해서는 약간의 보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규제대상, 분리신탁의 범위, 저작권 사용료의 협의 요청권을 가지는 권리주체 등이 문제된다. 저작권관리사업법안 제2조는 그 규제 대상에 대해 여전히 애매모호하게 규정되어 있다. 타인의 저작권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것이라면, 그 법적 기초가 신탁인지, 대리∙중개인지와 상관 없이 저작권관리사업법에 의해 규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분리신탁의 범위가 세분화되어야 하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자 대표에게만 저작권 사용료에 대한 협의요청권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그 밖에,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회원들이 많은 불만을 표시해왔던 것은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신탁자인 저작자의 의사에 반하여 이용자에게 리메이크 등 이용허락을 해 주는 것이었다. 만약 저작자가 적극적으로 이용허락 반대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당해 저작물에 대한 이용허락을 해주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대법원은 저작권자와 저작권신탁단 체간의 신탁계약을 통해 거의 모든 저작재산권이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완전히 이전된다고 보았다. 즉, 저작자와 저작권신탁관리단체간의 신탁계약을 신탁법상 신탁으로 보고, 오직 수탁자인 저작권관리단체만이 저작재산권을 배타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대법원이 이렇게 보게 된 데에는 저작권자와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간의 신탁계약의 내용이 되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약관을 해석한 결과라고 본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그들의 약관을 통해 그 회원들이 개별적으로 이용허락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회원들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이용허락 계약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저작권자가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공연권만을 신탁할 수 있도록 분리신탁을 허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저작권관리사업법의 제정으로 인한 규제 외에 독점규제법 또는 약관규제법에 의해 법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약관 제3조 및 제19조 제3항은 각각 약관규제법 제11조와 제9조에 해당한다. 즉, 약관규제법 위반이 될 여지가 있다. 이를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당해 불공정한 약관을 수정 또는 삭제할 것을 시정 명령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독점규제법 또한 저작권집중관리단체의 설립, 포괄계약, 저작권관리단체가 저작권 사용료 징수∙분배규정을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것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저작권관리단체를 구성하여 공동으로 그들의 저작권을 행사하는 것 자체를 두고 일괄적으로 독점규제법 위반이라고는 볼 수는 없을 듯 하다. 하지만, 만약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자신의 저작권을 신탁하고자 하는 회원들로 하여금 그들의 거의 모든 저작재산권을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완전히 이전하도록 하거나, 직접 계약 및 악곡별 계약의 현실적인 가능성 없이 소규모 사업자에게 포괄계약을 강요하는 것은 독점규제법 위반이 될 수 있다. 만약 저작권관리단체를 통한 저작권의 행사가 지적재산권 제도의 취지를 벗어나는 경우, 이는 민법 제2조 권리남용을 원용하여 저작권 남용이 될 수 있다. 사실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는 저작권침해 소송에서의 저작권남용 항변을 인정한 바 없다. 이에 대해서는 더욱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 글에서의 논의들을 구체화함으로써 저작권집중관리단체가 저작권법의 목적과 부합하는 방향으로 잘 운영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organizations grant licenses to users on behalf of copyrightowners or collect and distribute copyright royalties. Therefore, the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organizations must work efficiently in order to protect copyright holders and vitalize the utilization ofwork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copyright management organizations regulated under theCopyright Act and KOMCA121)’s contract terms. The causes of the problems are an abuse ofmonopoly, the ministry of culture’s failure to supervise effectively, and circumstantial changes to digitalnetworks.Accordingl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Copyright Act, the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system should be improved. This paper focuses on the music copyright, especially KOMCA, because ithas a long history, extensive scale and can be regarded as representing copyright collectivemanagement organizations.Recently, the enactment of the Copyright Management Business Act has been under discussion, butit has not yet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bill includes the permission system for thefoundation of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societies, the importation of Extended CollectiveLicenses, the construction of the unified database, the introduction of a copyright manager system toenhance expert management, and many others.I agree with enacting a special act of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which pluralizes copyrightsocieties to promote the competition, allows the formation of separate trust agreements, approves of aprofit-making corporation, and enforces stricter control by the government.However, the current Copyright Management Business Act requires slight modification. Forexample,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for a target of the regulation, the province of the separate trust, thesubject of the competence of claim for a conference about copyright royalties, etc. Article 2 of the bill isstill vague regarding the scope of regulation. I believe that a corporation managing the third party’scopyright or related right jointly has to be regulated by the Copyright Management Business Actregardless of the copyright trust services or copyright agency and brokerage services. In addition, it isrequired that the scope of the separate trust is subdivided and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nly arepresentative of the users is vested with the right to negotiate the provisions of copyright royalties.Moreover, the members of KOMCA have voiced their discontent with KOMCA’s granting licensesto users who plan to create remakes against the wishes of the creators. It appears to me that KOMCA must not license users to use works if the original creators of the works aggressively protest allowingusers to create remakes.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if copyright holders entrust their right to KOMCA, almostall of the copyrights of members are transferred completely to KOMCA. In other words, the courtconsiders that only the trustee, the collective management organization, can manage the copyrightexclusively. It seems that such a decision may b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KOMCA’s contractterms making up the contents of a trust agreement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KOMCA. KOMCAprohibits its members from exercising their copyright individually if they made a trust agreement withKOMCA under its contract terms. However, I believe that KOMCA must permit its members todirectly license the users to utilize their wo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llow a separate trustagreement so that the copyright holders can trust KOMCA only with the performing right. Above and beyond these controls established through the Copyright Management Business Act, wecan impose legal controls on copyright management organizations through the Contract TermsRegulations Act and the Monopoly Regulations and Fair Trade Act.Article 3 and Article 19③of the trust contract terms and conditions of KOMCA can be proved tocome under Article 11 and Article 9 of the Contract Terms Regulations Act, respectively. There areenough grounds to prove that there has been an infringement of the Contract Terms Regulations Act.For that reason, the Fair Trade Commission will be able to issue an order that KOMCA should delete oramend the appropriate unfair policy terms.Besides, the Monopoly Regulations and Fair Trade Act can be applied to a copyright collectivemanagement organization itself, blanket license, and KOMCA’s one-sided decision of copyrightroyalty, and so on. Exercising copyright jointly by forming a collective copyright managementorganization may not be concluded to violate the Monopoly Regulations and Fair Trade Act en bloc. But,it will be considered as violating the Monopoly Regulations and Fair Trade Act, since KOMCA demandsmembers to entrust almost all of their copyrights or enforces the blanket license on small-sized usershaving no chance of direct licensing or per-program licensing. If the exercise of the copyright runs counter to the purpose of the Copyright Act, it may endcopyright misuse by invoking a civil law, Article 2, to prove the abuse of their rights. In fact, the KoreanSupreme Court has never admitted the copyright misuse defense at an infringement of copyright suit.The point in question is open to further debate.I expect that the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organizations will be well run and work toward asimilar aim of the Copyright Act by taking form to the discussion stated above.

목차
Ⅰ. 서론
Ⅱ. 외국의 저작권관리제도
Ⅲ. 우리나라 저작권집중관리제도
Ⅳ. 저작권관리사업법(안)의 주요 내용에 대한 검토
Ⅴ. 저작권관리단체의 행위에 대한 약관규제법 또는 독점규제법의 적용 여부
Ⅵ. 결론
저자
  • 이상희(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지적재산권법 전공 석사과정) | Lee, Sa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