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피아리 유형별 경관구성 선호도 분석 KCI 등재

Preference Analysis of Landscape Composition by Topiary Ty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7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토피아리는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여러 가지 동물모양으로 자르고 다듬어 보기 좋게 만드는 기술 또는 작품을 일컫는다. 17~18세기에 유럽에서 유행하였는데 한국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꽃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에 토피아리를 활발하게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피아리 경관구성 유형별 이미지 표현 및 소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토피아리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방법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외 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 식물원, 정원 등에 도입된 토피아리를 사진으로현지촬영하여 2010년 10월 20일부터 2010년 11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토피아리 유형은 단독배치형과 조합배치형으로 구분한 후 「캐릭터형」,「식물형」,「동물형」,「사람형」,「조형물평면형」,「조형물입체형」,「글씨형」,「정원형」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소재는 ‘수목’, ‘첨경물’, ‘이끼’, ‘초화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250부를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토피아리에 대한 이미지는「인상적인」,「재미있는」,「신기한」,「아름다운」,「정교한」,「자연스러운」,「조화로운」 등의 이미지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토피아리 유형에 대한 선호도는 1개를 배치한 단독배치형보다 2개이상으로 구성되는 조합배치형을 선호하였다.셋째, 토피아리 이미지 표현에 있어 소재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인상적인」,「신기한」,「정교한」 표현을 할 경우 ‘이끼소재’가 효과적이며, 「재미있는」 표현을 할 경우 ‘첨경물’, 「아름다운」,「자연스러운」,「조화로운」 표현은 ‘수목’을 소재로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넷째, 토피아리 연출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표현방법은「인상적인」이미지 표현으로 ‘이끼’를 소재로 사용하여 ‘사람형’으로 구성하여 ‘조합배치’ 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Topiary is the technology, or the work of cut and pruned plants in to the figure of various animals, for aesthetic purposes. Topiary had been in fashion in Europ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but, in Korea, the topiary has been introduced actively in the exposition and exhibition spaces of flowers since 199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images by topiary landscape composition type and preference for the materials, and to suggest an introduction method of topiary. As the studying method, the topiary which was introduced in the domestic and foreign exposition, the space of flower exhibition, botanical gardens, and other gardens from 2000 to 2010 had pictures, and taken a survey was performed from October 20, 2010 to November 20, 2010. The types of topiaries were divided into ‘character type’, ‘plant type’, ‘animal type’, ‘human type’, ‘sculpture-plane type’, ‘sculpture three-dimensional type’, and ‘letter type’, and the materials were divided to ‘tree’, ‘sculpture’, ‘moss’ and ‘flower of a herb’. The answered 250 questionnaires were treated statistically.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 The first, the image for the topiary was 「impressive」「interesting」「novel」「beautiful」「elaborate」「natural」 d 「harmonious」. The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type of topiary was preferred to the 2 or more combined arrangement type more than single arrangement type arranged one. The third, in case of material as the image expression of topiary, the moss-material was effective for the expression of ‘impressive’, ‘novel’, and ‘elaborate’, the sculpture was effective for the ‘interesting’, and the tree was effective for the ‘beautiful’, ‘natural’, and ‘harmonious’. The forth, as the most effective expression method of topiary direction, the ‘moss’ was used for the ‘impressive’ image expression, and the ‘combined-arrangement’ was effective as the ‘human-type’.

저자
  • 윤재성(전남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 Yun, Jae Sung
  • 최경옥(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 Choi, Kyoung O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