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폐고속도로 생태복원지 유지관리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Maintenance Method of the Ecological Restoration Sites at Abandoned Expressway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8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생태복원된 폐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지별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그에 따른 향후 장기적인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여 폐고속도로의 생태복원 목표를 달성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복원대상지에 대한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형을 분류한 후 폐도로 복원관리의 원칙과 관리방식, 관리대상, 관리항목 및 체크리스트를제안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현황분석을 위해 조사대상지는 최근 사업이 완료되어 1년 이상 경과한 지점 중 지역분포를고려하여 속사나들목 시범사업지(2009), 달성2터널(2010), 오산나들목 복원지(2010), 황간폐고속도로 시험시공지(2009)등 4곳을 선정하였다.복원지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대상지에 대한 준공공사대장 분석과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상지를 경관 및 단면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조사대상지를 경관유형에 따라 분류했을 때 [산림지역-시가화건조지역] 유형과 횡단면 유형에 따라 분류했을 때 [절개-성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시가화 건조지역]에 인접한산림지 유형인 경우 외래 이입종의 발생이 많고 [절개-성토형]이 많을 경우 절개지 급사면을 따라 토사, 우수의 유입에따른 기반유실과 성토면에는 건조피해 가능성이 예상되었다. 복원대상지의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생태성, 경관성, 이용성,관리계획성 측면에 따라 분류한 후 그에 따라 분석하였다. 생태성 측면에서는 교목의 경우 얕은 토양층, 보수 및 보비력이낮은 기반토양 특성상 건조피해와 유사한 끝가지가 마르는 증상을 나타내며 고사한 수목이 많았다. 경관 및 이용성측면에서는 인근주민의 불법경작이나 일부 시설물 훼손과 여름철 집중호우 시 토사의 집적과 수로 막힘 등이 눈에띄었다. 관리계획성 측면에서는 폐도 복원지역에 대한 별도의 관리계획 수립 및 관리지침이 수립되어 있지 않아서향후 체계적인 폐고속도로 복원관리 매뉴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폐도로 복원관리 메뉴얼 도입 시설정해야할 내용들을 기존 보고서나 문헌자료를 토대로 폐도로 복원관리원칙과 관리방식, 관리대상, 관리항목 및 체크리스트등으로 구분하여 관리지침을 제안하였다.

Expressways are often upgraded by widening the lanes and/or reshaping the roads to be more linear for traffic flow. During the process of improving expressways, unused and abandoned expressways are often ecologically restored. This study investigated long-term maintenance methods and strategies for restored expressway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sites and several ecological principles. Four restoration si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construction documents. Maintenance goals and criteria were generated from long-term maintenance work and survey results. The site maintenance condition was analyzed by the ecology, landscape, user, and maintenance plan factor based on related research. For the ecology factor, woody plants could 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low soil fertility and low humidity. For the landscape and user factors, there were unlawfu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vandalism at user facilities, and at several, ditches were filled with eroded soil. For the maintenance plan factor, there were no maintenance manuals for ecologically restored expressways sites. The landscape and section type were classified. The most common landscape was the forest/urban region, and the most common section type was the cut slope/raised mound type. The forest/urban region type predict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invasive species. The cut slope/raised mound type predicts a lack of slop stability, dryness, and erosion. For the field purpose, maintenance criteria, methods, objects, and work descriptions for the restoration sites were proposed.

저자
  • 김태진(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Kim, Tae J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