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생태복원된 폐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지별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그에 따른 향후 장기적인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여 폐고속도로의 생태복원 목표를 달성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복원대상지에 대한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형을 분류한 후 폐도로 복원관리의 원칙과 관리방식, 관리대상, 관리항목 및 체크리스트를제안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현황분석을 위해 조사대상지는 최근 사업이 완료되어 1년 이상 경과한 지점 중 지역분포를고려하여 속사나들목 시범사업지(2009), 달성2터널(2010), 오산나들목 복원지(2010), 황간폐고속도로 시험시공지(2009)등 4곳을 선정하였다.복원지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대상지에 대한 준공공사대장 분석과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상지를 경관 및 단면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조사대상지를 경관유형에 따라 분류했을 때 [산림지역-시가화건조지역] 유형과 횡단면 유형에 따라 분류했을 때 [절개-성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시가화 건조지역]에 인접한산림지 유형인 경우 외래 이입종의 발생이 많고 [절개-성토형]이 많을 경우 절개지 급사면을 따라 토사, 우수의 유입에따른 기반유실과 성토면에는 건조피해 가능성이 예상되었다. 복원대상지의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생태성, 경관성, 이용성,관리계획성 측면에 따라 분류한 후 그에 따라 분석하였다. 생태성 측면에서는 교목의 경우 얕은 토양층, 보수 및 보비력이낮은 기반토양 특성상 건조피해와 유사한 끝가지가 마르는 증상을 나타내며 고사한 수목이 많았다. 경관 및 이용성측면에서는 인근주민의 불법경작이나 일부 시설물 훼손과 여름철 집중호우 시 토사의 집적과 수로 막힘 등이 눈에띄었다. 관리계획성 측면에서는 폐도 복원지역에 대한 별도의 관리계획 수립 및 관리지침이 수립되어 있지 않아서향후 체계적인 폐고속도로 복원관리 매뉴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폐도로 복원관리 메뉴얼 도입 시설정해야할 내용들을 기존 보고서나 문헌자료를 토대로 폐도로 복원관리원칙과 관리방식, 관리대상, 관리항목 및 체크리스트등으로 구분하여 관리지침을 제안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