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색 옥수수 잎과 줄기를 이용한 직물의 천연염색 KCI 등재

Natural Dyeing Fabrics with Leaf and Stem of Purple Cor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1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자색 옥수수 부산물인 옥수수 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염액을 추출하여 여러 가지 염색 조건에서 염색정도를 관찰하고 자색옥수수 부산물의 염료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여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1. 자색 옥수수 추출시 pH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가 없으므로 자색 옥수수 색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UV흡광도를 측정할 때 520∼560 nm를 이용하는 것이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2. 자색 옥수수 잎 추출물로 염색한 silk와 cotton은 pH가높아질수록 직물의 밝기와 적색도가 낮아졌다. 줄기추출물의 경우에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pH 값이 높아질수록 밝기와 적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3. 농도에 따른 직물의 염색 정도는 silk와 cotton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밝기는 낮아지고 적색도는 증가하는경향을 나타내었다.4. Silk와 cotton은 일반적으로 염색시간이 길어질수록명도가 증가하고, 적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yeing possibility of purple corn stem and leaf. The UV absorbance of the purple corn stem extract and leaf extract at different pH does not change. It is considered to use to efficiently measure the purple corn pigment content when using UV absorbance at 520∼560 nm. By adjusting higher pH values in the extraction dyed fabrics, silk and cotton fabric used by the purple corn leaf extraction decreased lightness and redness. Extent for dyeing the fabric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lightness and rednes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lor values when silk and cotton concentration increases. Also when the longer the dyeing time, silk and cotton increased lightness but redness decreased.

저자
  • 김정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ung-Tae Kim Corresponding author
  • 손범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Beom-Young Son
  • 이진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in-Seok Lee
  • 백성범(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eong-Bum Baek
  • 김선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un-Lim Kim
  • 김미정(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i-Jung Kim
  • 정건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Gun-Ho Jung
  • 권영업(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Up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