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쌀 수량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10% 증가한 2001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 비교 KCI 등재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2001 Yield Increased by 10% than Normal Level in 20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1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쌀 수량이 많은 연도에는 밥맛도 좋아 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년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지난 20년간(1993~2012) 쌀 수량을 분석한 결과, 연차 간에 쌀 수량이 약 10% 차이가 나는 년도는 1993년과 1994년, 2009년과 2010년 등 총 6번 이었다. 그 중에서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수준의 쌀 수량은 2000년과 쌀 수량이 9.8% 증가한 2001년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년도이었다.기상조건은 2000년 대비 2001년은 등숙기 평균기온은 비슷하였으나, 일교차가 컸고, 일조시간이 많았다. 수량구성요소는 2000년 대비 2001년이 주당 수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당 립 수가 많았고, 등숙비율 또한 높아 수량이 증가하였다.쌀의 화학적 성분 함량은 2000년 대비 2001년에는 아밀로스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단백질, Mg 및 K 함량은 감소하였다. 반면 Mg/K 당량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쌀 전분의 물리적 특성은 2000년 대비 2001년에 최고점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저점도 및 최종점도는 높았다.관능평가와 기계적 식미측정값과 단순상관계수가 0.82**~0.89**(n=27~30), 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연차 간 밥맛의 차이를 기계적인 측정값으로 간접 평가한 결과 2000년 보다 2001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일교차와 일사량에 의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2001년도에는 밥맛도 좋았을 것으로 추론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in the year, when there was 10% increase in yield compared to normal year due to daily temperature range and sunshine hou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ice yield over the last 20 years (1993-2012) showed 10% difference between the yield in 2000, which was normal, and that in 2001. With regard to the crop weather condition during the ripening period in 2001 compared to 2000, the daily range and sunshine hours were higher, but the mean temperature was similar. The rice yield in 2001 was 9.8% higher than that in 2000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s and ratio of ripened grain. In terms of chemical traits, protein, Mg, and K contents decreased in 2001 compared to 2000, but amylose content increased. Trough and final viscosity assessed with a Rapid Visco Analys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01 than 2000. The quality of cooked rice was measured through the Toyo Mido Meter Glossiness Value (TGV) instead of a palatability score because a sensory test produces relative comparison values rather than absolute valu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parameters and the TGV in several rice materials harvested in two year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81 ** -0.89 ** , n=27-47). TGV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2001 than in 2000.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was good in 2001 with about 10% increase in rice yield compared to normal year in 2000 due to daily temperature range and sunshine hours.

저자
  • 이점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m-Sig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정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ng-Heui Lee
  • 윤미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i-Ra Yoon
  • 곽지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ieun Kwak
  • 모영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 Jun Mo
  • 천아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Areum-Chun
  • 김정곤(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Chung-K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