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사선사의 근골격계 질환 현황 조사 KCI 등재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6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는 병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 현황 조사를 통해 추후 방사선사의 체계 적이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1년 7월 10일부터 31일까지 약 20일에 걸쳐 전국의 의원, 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부위별로 근골격계 증상 여부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한 결과, 목 부위는 22.5%, 어깨 부위 는 33.1%, 팔/팔꿈치 부위는 8.3%, 손/손목/손가락 부위는 15.5%, 허리 부위는 32.4%, 다리/발부위는 전체의 16.9% 로 나왔다(p<0.05). 둘째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스트레스, 피로도의 기술통계를 정리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전체는 Likert 4점 척도에서 평균 2.48, 사회심리스트레스는 Likert 4점 척도에서 평균 2.27로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스트 레스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피로도의 경우 Likert 7점 척도에서 평균 4.57로 ‘보통이다’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왔다 (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방사선사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해 예방활동을 전개하고자 할 때 체계적이고 효 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prevalence rate survey tool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argeting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working currently in hospitals or clinics. For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0th, 2011 to July 31st, 2011 for about 20 days with subject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private clinics,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frequency analysis on pres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in each part of body showed that neck area was 22.5 %, shoulder area was 33.1 %, arm / elbow area was 8.3 %, hand / wrist / finger area was 15.5 %, waist area was 32.4 %, leg / foot area was 16.9% (p<0.05). Second, the results from summariz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showed that the average of job stress was 2.48 out of Likert 4 points scale, the average of psychosocial stress was 2.27 out of Likert 4 points scale. Job stress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psychosocial stress. In case of fatigue, the average was 4.57 out of Likert 7 points scale and it was a slightly higher than ‘normal’ (p<0.05). In conclusion, we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anage the resources as the basic material upon deploying the preventive measures about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the future.

저자
  • 이진(경산1대학교 방사선과) | Lee jin
  • 조재환(경산1대학교 방사선과) | Jaehwan Cho Corresponding Author